최대호 경기 안양시장은 “민선 8기 마지막 해를 맞아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확실한 성과를 만들어 더 큰 도약을 이루겠다”고 강조했다.
20일 안양시에 따르면 최 시장은 이날 열린 제307회 안양시의회 제2차 정례회에서 2026년 시정 운영 방향을 밝히면서 이같이 말했다.
최 시장은 인덕원 ‘인텐스퀘어’ 착공, 박달스마트시티 사업의 국방부 합의각서 체결 및 안양시 시행자 지정, 서울대 관악수목원의 ‘서울대 안양수목원’ 명칭 변경과 상시 개방 등을 올해 주요 성과로 제시했다.
안양시의 내년 예산안은 총 1조 8640억 원으로 전년 대비 5.95% 증가했다. 시는 철도·도시개발 등 미래 핵심 투자와 AI 기반 스마트도시 고도화, 민생 안정 및 사회적 약자 지원 등 지속 가능한 성장에 중점을 뒀다.
최 시장은 내년 핵심 비전으로 △AI 기반 스마트 콤팩트 도시 조성 △민생경제 회복 △기본이 튼튼한 안전망 구축 △청년의 꿈과 도전 지원 △문화·친환경 녹색도시 조성을 제시했다.
시는 ‘K-인공지능 시티’ 실현을 목표로 공공서비스에 AI를 체계적으로 도입하고 특화사업 발굴 기반을 강화한다. 자율주행버스 ‘주야로’ 주간 노선 확대, 운전석 없는 레벨4 차량 운행, 로보택시 시범운영 등 미래 모빌리티 사업도 추진한다.
박달스마트시티의 구체화를 위해 대체시설 설계 용역에 착수하고, 인덕원 ‘인텐스퀘어’ 개발도 속도를 낸다. 또한 서부선·위례과천선 안양권 연장, 경부선 지하화, KTX-이음 안양역 정차 확대 등 철도 교통망 확충도 지속 추진한다.
민생경제 활성화를 위해 시는 ‘일자리센터’ 운영을 강화하고, 지역화폐 ‘안양사랑페이’와 공공배달앱 ‘배달특급’을 지원한다. 중소기업 육성자금 이자 지원, 창업기업 설비투자금 금리 감면 등 기업 부담 완화 정책도 이어간다. 디지털 콘텐츠 기업 발굴과 시제품 제작·기술 고도화 지원 등을 통해 AI 산업 육성에도 나선다.
시는 어르신·장애인을 위한 지역사회 계속거주(AIP) 기반의 의료·요양·돌봄 통합체계를 마련하고, 고령친화도시 환경 조성 연구도 추진한다. 청소년·가족 돌봄수당, 난임가정 지원, 임신·출산 프로그램 등 출산 친화 정책도 지속된다.
청년 정책으로는 청년 공간 ‘안양청년1번가’의 프로그램 확대, 민간 시설 청년 공간 발굴, 은둔·고립 청년 맞춤형 지원 프로그램 운영, 청년 월세 지원 확대, 청년주택 공급, 이사비·보증금 대출이자 지원 등이 포함됐다.
친환경 녹색도시 조성 분야에서는 안양천 지방정원 조성과 국가정원 지정 추진, 정원문화 확산 사업이 진행된다. 평촌도서관의 복합문화공간 리모델링 개관, 지역문학관 조성, APAP8 개최, 시민구단 FC안양 지원 등 문화·체육 사업도 추진된다. 태양광 설치 지원,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지원사업 등 에너지 자립도 향상 사업도 이어갈 계획이다.
최 시장은 “어려운 재정 여건 속에서도 선택과 집중으로 예산을 편성했다”며 “2026년에는 주요 사업들이 가시적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