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에이펙(APEC,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 기간 이뤄진 한미 정상회담에서 한국의 핵추진잠수함 건조를 승인한 배경은 중국 견제라는 주장이 다시 언급됐다. 미 당국자들의 이같은 발언에 중국의 대응 강도도 높아지는 것 아니냐는 전망이 나온다.
20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진행된 '한미의원연맹 창립기념 제1회 한미외교포럼-글로벌 도전과 한미 협력의 미래'에서 기조연설자로 나선 케빈 킴 미국대사대리는 "인도 태평양 지역 안보 핵심에 한미동맹이 있다"며 "역내 도전과제가 진화하고 있다는 것을 (양국이 모두) 인식"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최근 서해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을 보면 잘 알 수 있다"며 "그렇기 때문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이재명 대통령이 한미동맹을 현대화하고 한국의 국방비를 증액하고 새로운 능력, 특히 핵추진잠수함과 같은 새로운 능력을 도입하기로 하고 이를 통해 대응하기로 한 것"이라고 말해 중국에 대응하기 위한 용도로 한국의 핵추진잠수함 건조를 승인하게 된 것임을 시사했다.
케빈 킴 대사대리는 "이같은 새로운 기회가 가능한 것은 한국이 모범동맹이기 때문"이라며 "한국은 기꺼이 국방비를 투자하고 자체 부담을 짊어지면서 계속해서 한반도에 주둔하고 있는 주한미군을 지원하는 동맹"이라고 평가했다.
앞서 14일 한국을 방문 중인 대릴 커들 미 해군참모총장은 한국 언론들과 간담회에서 "한국의 핵잠이 중국을 억제하는 데 활용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예측"이라며 "미국은 한미 동맹이 미국의 핵심적인 위협으로 생각하는 중국에 대한 공동 목표를 달성하길 기대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이에 중국의 반발 수위가 높아지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된다. 트럼프 대통령의 핵추진잠수함 건조 승인 입장이 공개된 당일인 지난달 30일 궈자쿤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한미 양측이 핵 비확산 의무를 성실히 이행하여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촉진하는 일을 하기를 희망한다"는 입장을 내놨다.
이후 지난 13일 다이빙 주한 중국대사는 "한미의 핵추진잠수함 협력은 국제 비확산체제 및 한반도와 역내 평화 안보와 직결"됐다며 "한국이 각국 우려를 충분히 고려하고 신중하게 처리해주길 바란다"며 외교부의 기존 입장보다 더 강경한 태도를 보인 바 있다.
한편 일본은 자신들도 핵추진잠수함을 보유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반응을 내놓고 있다. 고이즈미 신지로 현 일본 방위상은 12일 참의원 예산위원회에서 핵추진잠수함 도입에 대한 질문에 "지금은 갖고 있지 않은 한국과 호주가 보유하게" 되는 환경이 된다면 "우리의 억지력과 대응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체연료, 연료전지, 원자력 등 (잠수함에) 어떤 새로운 차세대 전력원이 필요한지 광범위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