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가 12~1월 집중 발생하는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확산을 막기 위해 겨울철 방역을 강화하고 있다.
전국 최대 가금류 사육·도축 지역인 만큼, 방역 실패 시 산업 전반이 흔들릴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전북도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도내 AI 발생은 총 60건으로 전남에 이어 전국 2위 수준이다. 특히 산란계·오리 농가 밀집지역인 김제·부안·정읍에서 반복적으로 발생해, 도는 지난 5일 ‘고병원성 AI 위험주의보’를 발령하고 24시간 비상 체제를 가동 중이다.
도는 겨울철 위험도를 고려해 거점소독시설을 기존 14곳에서 30곳으로 확대하고, 금강호·동림저수지·만경강 등 철새도래지에는 하루 2회 이상 소독을 실시하고 있다.
김제 산란계 밀집단지에는 전담 소독차량과 관리 인력을 배치해 농장별 맞춤형 대응도 강화했다. 이와 함께 도내 1150개 농가 점검, 오리 사육 제한 사업 확대, 종오리 농가 전담 수의사 배치 등도 병행하고 있다.
철새 유입 차단도 핵심 과제로 꼽힌다. 도는 야생조류퇴치기 설치, 철새도래지·인근 농가 집중 소독, 이상 징후 신고(1588-4060) 안내 등 현장 관리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 9월에는 김제에서 가상방역훈련을 실시해 시군 대응체계도 점검했다.
민선식 전북도 농생명축산산업국장은 “AI 예방의 핵심은 농가의 자율방역”이라며 “전북도는 24시간 대응체계를 유지해 도민 안전과 가금산업을 지켜낼 것”이라고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