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일본, 편들어주는 미국에 '반색'…국무부 부대변인 중국 견제 메시지에 주목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일본, 편들어주는 미국에 '반색'…국무부 부대변인 중국 견제 메시지에 주목

다카이치 총리 압박하는 중국, 수산물 이어 다음 카드는 희토류 수출 금지?

대만 유사시 자위대를 출동시킬 수 있다는 다카이치 사나에(高市早苗) 일본 총리의 발언에 중국이 발언 철회를 요구하며 압박 수위를 높여가는 가운데, 일본 언론들은 일본 방위 공약에 변함이 없다는 미 국무부 대변인의 메시지를 비중있게 보도했다.

21일 일본 <아사히신문>은 토마스 피곳 미 국무부 수석 부대변인이 20일(현지시간) 사회관계망서비스인 ‘X’의 본인 계정에 "미일 동맹과 일본 관할 하의 센카쿠 열도를 포함한 일본 방위에 대한 우리의 공약은 변함없다"는 내용을 게재했다고 보도했다.

피곳 수석부대변인은 미일 동맹이 "인도-태평양 지역의 평화와 안정의 초석"이라며 "우리는 무력이나 강압을 포함한 대만 해협, 동중국해, 남중국해의 현상 유지를 변경하려는 모든 시도에 강력히 반대한다"며 중국을 견제하는 태도를 보였다.

신문은 이 시점에 나온 피곳 수석부대변인의 메시지에 대해 "이는 다카이치 사나에 총리의 대만 비상사태 관련 발언 이후 일본산 해산물 수입을 사실상 중단하는 등 일본에 대한 압력을 강화해 온 중국을 견제하려는 시도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또 신문은 전날인 20일에는 조지 글래스 주일 미국 대사가 모테기 도시마쓰(茂木敏充) 외무상을 만났다며, 이후 기자들에게 중국의 조치를 "중국의 경제적 강압의 전형적인 사례"라고 비판했다고 보도했다.

글래스 대사는 중국의 조치가 "지역 안정을 저해한다"면서 "미일 동맹은 지역의 평화와 번영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 20일(현지시간) 토마스 피곳 미 국무부 수석부대변인이 본인의 'X'계정에 게재한 글. ⓒ피곳 X 갈무리

중국은 다카이치 총리 발언의 철회를 요구하며 일본산 수산물 수입 금지 등 경제적 측면뿐만 아니라 다방면에서 일본을 압박하고 있다. 이러한 연장선에서 이달 개최 예정이었던 한중일 3국 문화장관회의도 연기됐다.

이에 대해 기하라 미노루(木原稔) 관방장관은 21일 오전 정례브리핑에서 "문화 교류를 포함한 양국 간 인적 교류를 위축시키는 듯한 발언은 공동의 전략적 이익에 기반한 호혜적 관계를 추진하고 건설적이고 안정적인 관계를 구축한다는 전반적인 방향과 부합하지 않는다"면서도 “주최국인 중국 측에서 아직 아무런 발표가 없었으므로 언급을 자제하겠다"고 밝혔다.

기하라 장관은 다카이치 총리가 G20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이날부터 24일까지 남아프리카공화국에 방문할 것이라고 공식 발표했다. 다른 국가와의 회담에 대해 그는 "아직 결정된 바가 없다"면서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와 회담을 추진할지 여부에 대해 "중국 측과 적절한 방식으로 계속 소통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은 일본산 수산물 수입에 이어 희토류 금수 조치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허융쳰(何咏前)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20일 정례 브리핑에서 다카이치 총리의 발언에 대한 질문에 "공개적으로 잘못된 발언을 했으며, 이는 근본적으로 중일 관계의 정치적 기반을 훼손하고 양국 경제무역 교류와 협력에 심각한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고 밝혔다고 중국 관영 CCTV의 국제방송인 CGTN이 보도했다.

방송에 따르면 허 대변인은 "중국 측은 일본 측이 역사와 중일 관계에 대해 책임 있는 태도를 가지고 잘못된 언행을 철회하고, 대중국 약속을 실질적으로 이행하며, 양국 경제무역 협력을 위한 좋은 환경을 조성할 것을 촉구한다"며 "일본 측이 일방적으로 잘못된 길을 계속 간다면, 중국은 단호히 필요한 조치를 취할 것이며, 모든 후과는 일본 측이 져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를 두고 일본 <지지통신>은 20일 중국 조치의 세부 내용이 불분명하지만 "중국은 이전에도 희토류 금수 조치와 해당 국가 기업을 대상으로 한 무역 제한 조치 등 정치적으로 적대적인 국가에 대한 조치를 취한 바 있어, 중국이 이를 염두에 두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지난 2010년 양국은 센카쿠(尖閣)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釣魚島)를 둘러싸고 갈등을 보인 적이 있는데, 당시 중국은 외교적 압박과 함께 희토류 수출 중단 조치를 취하면서 사실상 일본의 항복을 받아낸 바 있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이재호

외교부·통일부를 출입하면서 남북관계 및 국제적 사안들을 취재하고 있습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