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광역시는 21일 검단생활SOC복합청사 대회의실에서 ‘환경·안전 친화도시 인천’을 주제로 2026년 주요업무보고회를 개최했다.
인천시에 따르면 이날 보고회는 환경·안전·물 복지 분야의 핵심 정책과 사업을 시민에게 공유하고 현장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마련됐다.
먼저 환경국은 2045년 탄소중립 실현을 목표로 △다회용기 사용 확산 △생활 환경교육 강화 △지역 환경문제 시민참여 확대 등 생활 기반 환경정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또한 인천 서구에 환경 특화 강소연구개발특구를 조성해 미래 환경기술 혁신과 글로벌 환경산업 중심지 도약을 추진할 계획이다. 승기천·굴포천·장수천·공촌천·나진포천 등 5대 하천의 자연생태 복원 사업과 소규모 사업장 대기개선 지원, 미세먼지 저감사업도 지속 확대한다.
시민안전본부는 재난안전상황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365일 대응체계 강화, 폭우·폭염·한파·폭설 등 계절별 재난 대응을 위한 사계절 안전시스템 운영, 도서지역 및 취약계층 안전망 강화 등을 주요 정책으로 제시했다.
지하상가 재난 대응 시뮬레이션 시스템 구축과 중용량포 방사 시스템 도입 등 현장 대응력 강화 방안도 추진된다.
인천상수도사업본부는 ‘시민 물 복지 실현’을 목표로 △맑고 안전한 수돗물 공급 △안정적 급수체계 구축 △도서지역 기반시설 확충 △시민 체감 서비스 강화 등 4대 정책을 발표했다. 2030년까지 4대 정수장에 고도정수처리시설을 도입하고, 내년까지 취·정수시설 211건 개량과 220km의 노후관 교체를 추진한다.
북도면 배급수관망 구축, 울도·백령도 해수담수화시설 설치 등 도서지역 식수 기반 확충도 지속된다. 또한 영종·강화 송수관로 복선화, 정수장 간 비상연계 관로 구축, 배수지 신·증설 등을 통해 비상상황에서도 단수 없는 공급 체계를 마련한다.
유정복 시장은 “환경·안전·물 복지는 시민의 삶과 도시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라며 “지난 10여 년간 이 분야에서 전국 최고 수준의 성과를 이뤘으며, 미래선도 도시 인천은 시민과 함께 완성된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