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공 40일을 앞두고 현대건설이 일방적인 계약을 파기하며 표류 상태에 놓인 가덕도신공항의 공사기간이 106개월로 결정됐다. 국토교통부가 당초 방침에서 22개월이나 연장된 방침을 내놓자 부산시는 강한 유감을 표했다.
국토교통부는 21일 가덕도신공항의 부지조성공사 재추진 방침을 발표하며 공사기간을 106개월로 산정했다. 당초 국토부가 결정한 공사기간 84개월에서 22개월 연장된 것이다. 또한 지난 4월 현대건설 컨소시엄이 제출했던 공사기간과의 차이는 2개월에 불과하다.
현대건설의 공사 포기 이후 약 7개월만에 나온 방침이 공사기간 연장으로 결정되자 부산시는 즉각 반발했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국토부의 발표 직후 브리핑을 갖고 "정부는 가덕도신공항의 신속한 착공과 적기 개항을 바라는 시민들의 바람을 외면한 채 공사기간을 106개월로 결정했다"며 "건설업계의 수용성의 벽을 넘지 못한 자기모순에 빠진 결정"이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박 시장은 "국토부의 이 같은 결정에는 실망감을 감출 수 없다"며 "부산시는 여러 노력을 통해 2030년 개항을 기본계획으로 확정했지만 국토부가 이를 원점으로 되돌리는 결과를 가져왔다. 강한 유감을 표한다"고 했다. 이어 "남은 행정절차라도 최대한 신속히 추진해 조속한 시일 내에 착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부산시는 신공항 건설 사업을 위해 정부에 협력하겠다는 약속과 함께 '부지조성공사 입찰 등 관련 절차의 신속한 추진', '남부권 관문공항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안전과 품질을 갖춘 완벽한 공항 건설', '최신 기술과 혁신적인 공법을 채택해 개항 시기를 최대한 앞당길 것' 등을 촉구했다.
이같은 소식이 전해지자 시민단체는 격앙된 반응을 보이며 국토부의 책임을 물었다. 이지후 가덕도허브공항시민추진단 대표는 "현대건설의 이탈 후 7개월에 가까운 시간이 지나 나온 결론이 현대건설의 주장을 거의 그대로 수용한 것이다. 그렇다면 왜 그때는 수용하지 않았는가"라며 "그럼에도 국토부는 유감 표명조차 없었다"고 날을 세웠다.
또한 "국토부는 결국 현대건설에 면죄부를 주고 국책사업에서 방침을 무시해도 된다는 선례를 남긴 것"이라며 "공사기간 연장에 대해 부산시민들이 이해할 수 있는 상응하는 보상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 대표는 그 예시로 활주로 확장을 고려한 설계 변경과 지역건설사의 참여 확대 등을 들었다.
국토부는 이날 가덕도신공항 정상화 방안을 발표하며 "연약지반 안정화에 필요한 기간을 충분히 부여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는 당초 현대건설 컨소시엄이 공사기간을 108개월로 결정하며 내세운 논리와 유사하다. 국토부는 올해 안에 사업자 선정을 위한 재입찰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새 방침에 따르면 가덕도신공항은 내년 하반기에 착공해 2035년 개항을 목표로 한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