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민주당은 'PK 총력전' 견제하는 국민의힘은 지도부 총출동 '수성전'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민주당은 'PK 총력전' 견제하는 국민의힘은 지도부 총출동 '수성전'

부산 도심서 '민생회복 법치수호 국민대회' 열고 여론전…지지층 결집 주력

더불어민주당이 PK 공략을 가속화하는 가운데 국민의힘도 부산을 찾으며 견제에 나섰다. 그러나 중도층에 구애하는 더불어민주당과 상반되게 국민의힘의 움직임은 지지층 결집에 집중됐다.

국민의힘 장동혁 지도부는 22일 부산을 찾아 중구 광복로에서 '민생회복 법치수호 국민대회'를 열었다. 이날 대회에서는 대장동 사건 항소 포기와 관련해 여당을 규탄하는 장외 여론전이 이뤄졌다. 산업은행 이전과 가덕도신공항 등 부산지역의 현안에 대해서도 언급됐지만 이 역시 이재명 정부를 공격하는데 집중됐다.

이날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는 검찰의 대장동 사건 항소 포기를 놓고 "7800억원을 대장동 일당의 호주머니에 집어넣은 항소포기는 항소포기가 아니라 국민을 포기한 것"이라며 "이재명 정권은 항소만 포기한 것이 아니라 총체적 포기 정권이다. 대한민국을 포기하고 자유를 포기하고 법치를 포기하고 청년들의 미래를 포기했다"며 맹비난했다.

▲22일 오후 부산 중구 광복로에서 열린 민생회복 법치수호 국민대회에서 연설하고 있는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프레시안(강지원)

부산 지역의 국민의힘 국회의원들도 비난 대열에 합류했다. 주진우 의원(해운대갑)은 "항소 포기는 사실상 이재명 대통령과 성남시 수뇌부가 다 공범이라는 것을 자백한 것"이라며 "이 사건 관련된 사람들은 감옥에 갈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했다. 박수영 의원(남구)은 "대한민국을 살려내려면 이재명 재판이 재개돼야 한다"며 "재판을 재개하려면 우리 우파들이 뭉쳐서 대한민국을 지켜내야 한다"고 호소했다.

지역 현안을 놓고는 김재원 최고위원이 "이재명 정권 들어오고 6개월도 안 됐는데 공항은 2년이 늦춰졌다"며 가덕도신공항의 공사기간을 당초 계획에서 22개월 연장된 106개월로 산정한 국토부의 결정을 비판했다. 이준호 부산시의원도 "이재명은 특별히 부산에서 더 자격이 없다. 박형준 시장이 산업은행 이전해달라고 이재명을 찾아갔지만 문전박대 당했다"며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나 장동혁 대표의 발언에서는 부산은 사라졌다. 장 대표는 김영삼 전 대통령을 거론하며 "닭의 모가지를 비틀어도 새벽은 온다고 말씀하셨다. 제가 새벽을 깨우는 닭이 되겠다"고 말했지만 지역 현안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검찰의 대장동 항소 포기를 비난하면서도 "7800억원이면 91만명 성남시민에게 86만원씩 나눠줄 수 있는 돈"이라고 말했다.

▲22일 부산 중구 광복로에서 열린 민생회복 법치수호 국민대회에서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가 대장동 사건 항소 포기를 규탄하는 내용의 피켓을 들고 있다. 왼쪽부터 정성국 국민의힘 의원, 양향자 국민의힘 최고위원,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 김도읍 국민의힘 정책위의장, 김민수 국민의힘 최고위원.ⓒ프레시안(강지원)

이는 앞서 부산을 찾았던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지도부와는 대조되는 모습이다.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지난 14일 부산에서 열린 현장최고위에서 해양수도 부산 특별법과 북극항로 구축 지원법의 연내 처리를 약속했다. 가덕도신공항에 대해서도 "정부의 추진 의지는 확고하다"며 지역 민심을 달래는 한편 이례적으로 지역위원장 전원에게 발언기회를 주고 지역 현안을 들었다. 국민의힘의 이번 부산 방문이 지지층 확장이 아닌 지지층 결집에 그쳤다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국민의힘의 이러한 행보는 장동혁 대표가 강조하는 '투쟁'과 무관하지 않다는 것이 지역 정치권의 시각이다. 장 대표는 앞서 국민의힘 중진들과 만나 "대여 투쟁력 강화"를 강조했다. 국민의힘은 장동혁 지도부 출범 이후 내년 지선과 관련해서도 "열심히 싸운 분만 공천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겠다"는 방침을 밝힌 바 있다. 장 대표가 강경 메시지와 함께 대여 투쟁으로 지지율 반등의 모멘텀을 노린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당내에서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국민의힘 소속인 박형준 부산시장은 앞서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국민의힘의 지지율이 박스권에 갇힌 상황을 두고 "메신저에 대한 전반적인 국민들의 문제 제기가 있다"고 짚었다. 부산 국민의힘의 관계자도 "(장외 투쟁에) 국민적인 공감대가 형성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강지원

부산울산취재본부 강지원 기자입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