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의 '대만 유사시' 개입 가능성 시사 발언 뒤 중국과 일본의 갈등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중국이 대만 개입은 "침략 행위"에 해당한다며 자위권 행사를 경고했다. 중국 관영지도 일본 "멸망"을 언급하며 발언 수위를 높이는 등 이번 사태를 계기로 중국의 공격적 '전랑(늑대 전사) 외교'가 부활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22일(현지시간) <로이터>, 중국 관영 <신화> 통신을 보면 푸충 유엔 주재 중국대표부 대사는 이날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에게 보낸 서한에서 다카이치 총리 발언에 대해 "일본이 양안 상황에 감히 무력 개입을 시도한다면 침략 행위가 될 것"이라며 "중국은 유엔 헌장과 국제법에 의한 자위권을 단호히 행사하고 주권과 영토 보전을 굳건히 수호할 것"이라고 밝혔다.
푸 대사는 서한에서 다카이치 총리 발언은 일본 지도자가 1945년 패전 이후 대만 문제를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과 처음으로 연계한 사례고 "대만 문제에 군사적으로 개입하려는 야심을 처음 드러낸 것이자 처음으로 중국의 핵심 이익에 공개적으로 도전해 중국에 무역 위협을 가한 것"이라며 "이러한 발언은 매우 잘못됐고 극도로 위험하며 성격과 영향이 극심하게 악질적"이라고 비판했다.
푸 대사는 다카이치 총리 발언이 국제법과 외교 규범에 대한 "심각한 위반"이라며 발언 철회를 요구했다.
<로이터>는 푸 대사의 서한이 2주간 이어진 중-일 갈등에서 중국이 가장 강력한 언어로 일본을 비판한 사례라고 평가했다. 일본 외무성은 통신에 보낸 이메일 성명에서 해당 서한을 인지하고 있으나 중국 쪽 주장은 "전혀 받아들일 수 없다"고 일축했다.
다카이치 총리가 지난 7일 '대만 유사시'가 일본이 집단 자위권을 행사할 수 있는 '존립위기 사태'에 해당할 수 있다고 발언한 뒤 중국은 발언 철회를 요구하며 일본 여행 자제 권고, 일본산 수산물 수입 중지 등 압박 조치를 취하고 있다.
중국 관영매체도 "멸망"을 언급하며 수위 높은 발언을 이어갔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는 22일 국제 문제에 대한 논평 '종소리'를 통해 "이기적 정치적 야망"을 가진 "다카이치 사나에의 잘못된 언행은 '전쟁을 좋아하면 반드시 멸망하게 되는 위험한 상황'으로 일본을 이끌고 있다"고 주장했다. 신문은 중국이 일본의 최대 무역국 중 하나임을 강조하며 "일본이 뉘우치지 않거나 실수를 이어갈 경우 중국은 더 가혹하고 단호한 대응조치를 취할 수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중국의 공격적 '전랑 외교'가 부활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21일 <로이터>는 중국의 '전랑 외교관'들이 다카이치 총리 공격을 통해 국제 무대로 복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필리핀 마닐라 주재 중국 대사관은 20일 소셜미디어(SNS)에 다카이치 총리를 일본 군국주의에 물을 주는 마녀로 묘사한 그림 등을 싣고 "오늘날의 중국은 더 이상 과거의 중국이 아니다"라며 "만약 일본이 감히 대만 해협에 군사 개입을 감행한다면 이는 침략 행위로 여겨질 것이며 중국은 분명히 단호히 반격할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를 보면 일본 주재 중국 대사관은 21일 소셜미디어에 일본어와 중국어로 유엔 헌장의 "적국 조항"을 언급하며 위협하기도 했다. 대사관은 게시글에서 "유엔 헌장엔 적국 조항이 포함돼 있다. 독일, 이탈리아, 일본 등 파시즘, 군국주의 국가가 침략 정책 재실행을 위한 조치를 취할 경우 중국, 프랑스, 소련, 영국, 미국 등 유엔 창설국은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승인 없이 이에 대항해 직접 군사 행동을 취할 권리가 있다는 것"이라고 경고했다.
<로이터>는 중국이 올해 일본의 세계대전 패전 80주년을 맞아 일본의 전시 잔혹행위를 비난하고 유엔 설립에 기여한 중국의 전후 역할을 강조하며 국제 통치 체제 재편을 추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