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광역시는 24일 '2026년 시민과 함께하는 주요업무보고회'를 열고 ‘All ways INCHEON(올웨이즈 인천)'의 교통·해양·항공 분야 정책을 공유했다.
인천시에 따르면 인천교통연수원에서 이날 열린 보고회에서는 대중교통비 지원 확대, 철도·도로망 확충, 원도심 주차난 해소, 해양·항공 신산업 육성 등 주요 정책과제가 발표됐다.
시는 교통복지 강화를 위해 올해 출생 가구 교통비 환급제 ‘아이플러스 차비드림’을 도입한 데 이어, 2026년 7월부터 75세 이상 어르신에게 시내버스 무료 이용을 보장하는 ‘아이-실버 패스(가칭)’를 추진한다. 또 준공영제 내실화, 시내버스 배차간격 단축, 광역버스 준공영제 안정화 등을 통해 대중교통 서비스 품질을 높이기로 했다.
시민 이동비 절감을 위해 제3연륙교는 개통 즉시 청라·영종·북도면 주민을 대상으로 무료 통행을 적용하고, 내년 4월부터 인천시민 전체로 확대한다. 장애인콜택시 ‘반디콜’ 서비스도 차량 확충과 바우처택시 확대 등을 통해 수요 대응력을 강화한다.
철도 분야에서는 인천발 KTX(2026년 개통 예정), GTX-B, GTX-D·E, 서부권 광역급행철도, 월곶~판교선, 도시철도 연장 등을 추진해 수도권 접근성을 높일 계획이다. 도로부문에서는 영종~강화 평화도로, 제3연륙교, 광역 도로망 확충 등을 추진하며, 경인전철 지하화도 정부 종합계획 확정을 앞두고 있다.
원도심 주차난 해소를 위해 올해 2만 7214면, 내년 3만 3500면의 주차면을 추가 확보할 방침이다.
해양·항공 분야에서는 ‘인천 아이 바다패스’ 지속 운영, 지하철역 기반 ‘천원택배’ 전면 확대, 해사전문법원 유치 추진, 경인권 종합비상훈련장 건립 등 해양 인프라 확충 계획이 제시됐다. 서해5도에는 관광 인프라와 주민 생활시설을 확충하고, 해양쓰레기 정화사업과 어촌 신활력 사업을 확대한다.
시는 또한 ‘인천 국방벤처센터’ 설립, 도심항공교통(UAM) 도입, 드론 기반 도시관리 서비스 고도화 등 미래 항공·방위산업 육성 전략도 발표했다.
인천교통공사는 AI·IoT 기반 예지정비, 자율점검 로봇 도입 등 무결점 안전체계 구축을 추진하며, 인천2호선 혼잡도 개선과 역사 편의시설 개선도 지속할 계획이다.
유정복 시장은 “시민이 실제로 체감하는 변화가 가장 강력한 정책의 힘”이라며 “대중교통 혁신과 철도·도로망 확충, 해양·항공 신산업 육성을 흔들림 없이 추진해 인천의 미래 경쟁력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