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균형발전과 고등교육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한 국정과제 ‘서울대 10개 만들기’ 정책에 속도가 붙고 있다.
거점국립대 총장들이 공동 추진의 뜻을 모은 데 이어, 서울대까지 동반자로 참여할 것을 공식 선언하면서다. 단순 경쟁 구조가 아닌, 지역과 국가 전체의 경쟁력을 키우는 공공 협력 모델로 정책 성격이 달라지고 있다.
지난 11월 22일 전주 라한호텔에서 열린 2025년 제4차 거점국립대 총장협의회에서 강원대, 경북대, 경상국립대, 부산대, 서울대, 전남대, 전북대, 제주대, 충남대, 충북대 등 10개 거점국립대 총장들은 공동 성장 방향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유홍림 서울대 총장은 “‘서울대 10개 만들기’는 서울대 한 곳의 역할을 넓히는 일이 아니라, 지역과 국가의 경쟁력을 함께 높이는 일”이라며 협력 의지를 밝혔다.
회의에서는 선언을 넘어 실질적 방안도 다뤄졌다. ‘서울대 10개’ 정책이 단순 브랜드 확장으로 흐르지 않기 위해서는 재정 확충과 대학 제도 개선이 필수라는 데 의견이 모였다. 일부 총장들은 중국 등 해외 사례를 언급하며, 전공·지역별로 국가의 안정적 재정 투자 모델을 법제화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한 연구자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해외대학과의 겸직 허용, 국립대 간 겸직 제도 도입 등 인재 순환을 촉진하는 개혁이 필요하다는 제안도 나왔다. 지역 우수 인재 유출에 대응하고, 연구 역량을 키우기 위한 실효성 있는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취지다.
이번 논의는 ‘서울대 10개 만들기’를 서울대 중심의 확장 정책이 아니라, 거점국립대 생태계를 키우는 국가교육 프로젝트로 재정의하는 과정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단순 명문대 숫자 늘리기가 아니라, 예산·제도·인재 순환까지 포함하는 실행 중심의 균형교육 정책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이 반영된 셈이다.
양오봉 전북대 총장은 “새 정부 국정과제 예산이 처음 반영된 중요한 시점”이라며 “서울대와 거점국립대가 함께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고등교육 시스템을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협의회는 향후 공동 실행 체계를 구축하고, 지역대학 육성이 국가 균형발전의 실질적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후속 논의를 지속하기로 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