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0년이나 2100년의 온도와 습도, 이산화탄소 농도 등 기상 조건을 정밀하게 조절해 실제 기후변화가 농업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고 적응 기술을 개발하는 연구원이 문을 열었다.
전북자치도 혁신도시에 있는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기후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지속 가능한 농업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기후변화연구동'을 준공하고 26일 국립농업과학원에서 개관식을 열었다.
연구동은 2830㎡ 규모에 '에코돔'과 '미래강우동', '인공광과 자연광 기후조절실', '기상과 기후 인공지능 융합실' 등으로 구성됐다.
'에코돔'은 복합적인 농업생태계를 동시에 조절해 농업생태계의 토양-식물-대기 변동을 연구한다.
미래 극한 강우와 경사(최대 15%)가 농업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적응 기술 효과 실증은 '미래강우동'의 몫이다.
이런 식으로 기후변화연구동은 인공지능(AI) 기술을 이용해 기상·기후를 예측하고 미래 기후 시나리오를 재현해 농업 분야 기후변화를 연구하는 환경 조절 연구시설 역할을 하게 된다.
농촌진흥청은 기후변화연구동 개관으로 농업 분야 기후변화 예측‧적응‧완화 기술 검증 기반을 확보했다며, 온실가스 배출 통계 검증 등으로 2050 탄소중립 실현 관련 정책 수립을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개관식에는 지역 초‧중‧고등학생과 대학생 등 미래세대가 초청돼 제막식과 테이프 자르기를 함께해 눈길을 끌었다.
김건호 학생(전주 우전초)은 축사에서 "오늘 문을 연 기후변화연구동이 미래 농업과 지구를 지키는 희망의 상징이 되었으면 좋겠다"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이승돈 농촌진흥청장은 "기후변화연구동은 기후변화로 더욱 복잡해질 농업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주요 연구 기반이 될 것"이라며 "미래 기후변화에 대한 과학적 데이터를 확보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래에도 지속 가능한 농업을 실현할 수 있도록 혁신적인 연구를 수행하겠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