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광역시는 내년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에 역대 최대 규모인 2천243억 원을 투입해 4만5천 명 이상의 어르신에게 일자리를 제공한다. 참여 신청은 12월 1일부터 시작된다.
대구시는 어르신의 건강한 노후생활과 사회참여 확대를 위해 2026년 노인일자리 사업을 대폭 확대한다. 올해보다 418억 원이 늘어난 총 2천243억 원의 예산이 투입되며, 총 4만5천174명의 어르신에게 일자리가 제공될 예정이다.
사업 유형은 ▲공공부문을 지원하는 ‘역량활용사업’ ▲카페·음식점 운영 등 ‘공동체 사업단’ ▲학교 급식·환경 개선 등을 포함한 ‘공익활동사업’ ▲민간 취업 연계형 ‘취업 지원’ 등 4가지로 구성된다.
특히 ‘역량활용사업’은 올해 대비 51.5% 증가한 1만2천850명을 모집한다. 해당 사업은 전문성과 경험을 보유한 신노년층에게 공공분야 업무 참여 기회를 제공하며, 월 60시간 근무 기준 약 63만4천원의 급여가 지급된다. 주휴수당은 별도다.
공익활동 참여자는 65세 이상 기초연금 수급자를 중심으로 선발되며, 월 30시간 활동 시 29만 원의 수당을 받는다. 단, 생계급여 수급자, 직장 건강보험 가입자, 장기요양 등급자 등은 일부 참여가 제한된다.
참여를 원하는 어르신은 12월 1일부터 구청·군청의 노인일자리 담당 부서나 시니어클럽 등 수행기관을 방문해 신청할 수 있다. 신청 시 신분증과 주민등록등본 등 기본 서류가 필요하며, 기관별 접수 기간은 상이하므로 사전 확인이 권장된다.
대구시는 겨울철 취약계층의 소득 공백을 줄이기 위해 내년 1월부터 조기 착수하며, 활동 시간 조정 등을 통해 동절기 안전사고 예방에도 나선다는 방침이다. 또한, 어르신의 창업과 취업을 돕기 위해 시비 2억 원을 추가 투입할 예정이다.
김태운 대구시 보건복지국장은 “노인 일자리는 삶의 활력소이자 사회적 연대감을 키우는 기회”라며 “앞으로도 다양한 일자리 모델을 발굴해 어르신의 경험을 지역사회에 적극 연계하겠다”고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