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 군산지역과 같은 고용위기지역에 설치된 고용위기종합지원센터가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1년으로 돼 있는 한시적운용 기간을 연장해야 할 것으로 요구되고 있다.
현대중공업군산조선소와 한국GM군산공장의 연쇄 가동중단 사태로 지난 4월에 고용위기지역으로 지정된 군산지역은 관련법에 따라 6월 1일부터 군산시에 고용위기종합지원센터가 설치돼 운용되고 있다.
고용위기종합지원센터에서는 현대조선소와 한국GM 퇴직자와 실직자 뿐 아니라 함께 아려움을 겪고 있는 이들의 가족 등 군산시민 전체를 대상으로 심리상담과 직업훈련, 재취업과 전직, 자립지원 등의 교육 프로그램을 운용하고 있다.
그러나, 지원센터를 내년 4월초까지 한시적으로 운용해야 하는 형편이다보니 짧은 시간에 고용위기종합지원센터를 찾는 퇴직자와 구직자,시민들의 욕구에 부합하는 안정적인 교육이 이뤄질 수 없고, 또 성과를 기대하기도 어렵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특히, 실직자의 경우 불안한 심리상담과 함께 재취업이나 창업을 위해서는 고용위기센터에 개설돼 있는 여러가지의 교육프로그램을 복합적으로 접해보면서 자신에게 맞는 교육프로그램을 선택해 재취업이나 전직 등을 준비해야 하지만 내년 4월까지로 운용이 한정돼 있다보니 시간도 촉박할 뿐 아니라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의 개설도 사실상 어렵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로 인해, 지난 6월 1일 개설된 이후 현재까지 4900여 건의 상담이 이뤄졌고 1200여 명의 시민들이 지원 서비스를 이용했으나, 그 가운데 44명만이 센터를 통해 취업이 된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군산시 관계자는 "그동안 고용노동부에 고용위기지원센터의 연장운용을 계속 건의해 왔었다"며 "3일 군산고용위기 종합지원센터를 방문해 센터의 운영 현황과 애로사항을 청취한 심보균 행정안전부 차관에게도 연장운용을 건의했다"고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