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종로구 감사원 전경 ⓒ김덕엽기자
감사원은 ‘공공데이터 활용 및 품질관리 실태’ 감사에서 한국환경공단이 전기차 충전소 입지 선정 시 공공 빅데이터 분석모델의 활용이 미흡한 사실 등을 지적했다.
감사원은 지적과정에서 한국환경공단이 지난해 대구 시내에 설치한 전기자동차 공공 급속충전기에 대해 행안부의 공공 빅데이터 분석모델을 통해 공공 급속충전기 위치 적정성을 검증한 결과 21개 충전기 중 14개가 위치 적합성 ‘부족’, 5개 ‘보통’, 2개 ‘우수’, 최우수는 단 하나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사원은 “한국환경공단이 시내 충전기 설치 후보지에 대한 적정성 검증 방법은 행안부의 공공데이터 빅데이터 모델과 달리 특정지역 내 세부적인 입지 선정 요소를 반영하지 못해 위치 선정 등이 효과적이지 못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한국환경공단 측은 감사원의 감사결과를 수용하고 “앞으로 전기차 충전 인프라의 입지 선정 시 보다 세부적인 분석이 가능한 행안부의 공공 빅데이터 분석 모델을 적극 활용하겠다”며 별다른 이견을 제시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또 감사원은 한국환경공단에 전기차 충전소 입지 선정에 행안부 공공 빅데이터 분석 모델 활용 방안 마련 등을 통보했다.
한편 감사원은 전기차 공공 급속충전기 입지 선정 빅데이터 활용 미흡 지적을 시작으로 전기차 충전소 정보 제공 시 민간 충전소 정보의 통합·개방이 미흡한 것과 충전기의 실시간 상태정보 갱신이 부적정한 사실에 대해 지적하고 한국환경공단이 설치한 전기차 충전소 1252곳과 8개 민간 충전사업자의 충전소 2862곳에 대한 정보 통합과 충전기의 실시간 상태 정보가 실제 정보와의 시차를 단축하는 방안을 마련할 것을 주문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