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2 지중 저장 실증 사업 시설 사진ⓒ독자제보
정부는 지난 2010년 7월 '국가 CCS(CO2 capture and storage) 종합 추진계획'을 확정해 2017년부터 연간 100만 톤씩 CCS 기술을 이용해 이산화탄소를 처리하기로 하고 포항에서 실증사업을 추진해 왔다.
지난 2011년부터 포항에서 추진된 CO2 포집 및 저장 실증사업은 영일대해수욕장에서 5k 떨어진 포항제철소 앞 바다와 장기면 학계리 등 2개 소에서 추진됐다.
장기면 학계리의 저장시설은 시추과정에서 사업진행이 중단됐으며 영일대 앞바다의 저장시설은 지난 2017년 11월 15일 포항지진 이후 가동을 중단했지만 약 100톤의 Co2가 저장된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내년까지 총 336억원이 투입될 예정이었던 이 CCS 저장시설 플랫폼이 1개 소는 영일대 앞바다에 들어서 100톤의 Co2를 저장했고 1개 소는 시추과정에 중단됐는데 이를 포항시가 어떻게 모를 수 있었냐는 것이다.
포항시 김종식 환동해미래전략국장은 최근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이 모두가 국책 사업으로 추진됐지만 포항시나 시민들에게 주민 설명회도 전혀 없었고 추진 과정을 전혀 알려준 바가 없다"고 말했다.
김종식 국장의 말이 사실이라면 포항시는 관할인 영일대 앞바다와 장기면 학계리에 CO2 포집 및 저장시설이 들어서는 것 과정에 굴착공사를 한 것 조차 모르는 무능한 행정을 한 것이며 이는 명백한 직무유기에 해당된다.
만약 거짓이라면 포항시는 이 CO2 지중 저장시설이 유발지진과 연관성이 있을 것이라는 주장이 나오자 이를 면피할 목적으로 포항시민들을 기만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해 지역의 한 네티즌은 "아무리 국책사업이라도 해당 지자체에서 도로, 전기 및 기타 허가사항 등, 행정적 지원 등이 수반됐을 것인데 전혀 몰랐다니 검찰 수사의뢰를 할 사안"이라고 혀를 찼다.
또 다른 네티즌은 "정부에서 종합추진계획을 수립해 몇백억원의 국비가 투입하는 사업인데 상식적으로 이를 해당 지자체와 논의없이 진행할 수는 없다. 포항시가 이를 부정하는 이유를 모르겠다"고 지적했다.
포항시 관계자 또한 "바다는 그렇다 하겠지만 내륙인 장기면의 경우는 굴착을 위한 논의가 이뤄져야 하기에 당시 정부 관계자와 검토를 한 것으로 안다"며 "김종식 국장이 이에 대해 포항시가 몰랐다고 하는 이유를 모르겠다"고 말했다.
결국 포항시의 "몰랐다"는 해명은 지열발전소가 유발한 지진피해의 책임론이 CO2 지중저장시설까지 번질 것을 염려한 '면피 작전'으로 거짓일 가능성에 무게가 강하게 실리고 있다.
한편 산업부는 지난 2일 "오는 5월말 포항 CO2 저장사업의 지진유발 관련성 및 안전성에 대한 전문가 조사결과를 발표할 것으로 이를 통해 사업의 중단여부를 최종 결정할 예정이다"고 밝혀 이에 대처할 포항시의 입장에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