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포항시는 시내버스의 외곽지역에 대한 대중교통 서비스의 미비와 배차 간격 불균형, 생활권역 연결노선 부족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시내버스노선의 개편과 함께 현재 200대인 시내버스에 친환경 전기버스 70대 증차를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해마다 환승보조금, 교통카드 할인보조금, 손실보조금 명목으로 110여억원, 외곽노선에 대한 재정지원금으로 도비를 포함 10여억원 등 총 120여억원을 현 업체에 지원하고 있으나 독점 운영하는 시내버스 업체의 서비스 문제점은 수년째 제자리 걸음이다.
이에 전기버스 증차운영에 참여를 희망하는 사업가 A씨는 “포항시가 전기버스 운영에 참여할 업체 모집 공고도 하지 않은 채 무조건 지원 사업자가 없다며 기존의 업체에 전기버스 운영을 맡기려 하는 것이 과연 정상적인 행정이냐”며 우려를 표명했다.
또 “한두 달 정도면 충분히 전기버스 운영을 위한 새로운 노선 등을 갖춰 참여 조건을 갖출 수 있기에 지금이라도 포항시가 전기버스 운영업체 모집 공고 등을 통해 참여 기회가 공정하게 주었으면 좋겠다”고 주장했다.
시민단체인 지역사랑주민협의회(이하 지주협)는 “업체 모집 공고도 하지 않은 채 기존 자본금 1억 원의 시내버스업체에 2백억이 넘는 예산을 투입하는 전기버스 운영권을 추진하는 건 이해할 수 없다”며 “충분한 시간적 여유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왜 운영업체 모집 공모를 하지 않느냐”고 의문을 제기했다.
지주협의 이동학 사무국장은 “이번 전기버스 70대 증차를 시작으로 독점적인 시내버스 운영을 견제할 수 있는 업체를 추가 선정돼 시민에 대한 서비스 질을 높이고 상호견제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이 제대로 갖추어 져야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포항시 관계자는 “추가로 지원하는 업체가 없어 현재로선 그대로 진행이 되었다”며, “만약 기존의 업체 외에 추가로 새로운 노선 등 참여 조건을 갖추어 희망하는 업체가 있다면 당연히 검토를 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포항시가 계획하고 있는 올해 말까지 전기버스 70대 증차는 국회파행으로 인해 환경부의 예산안이 통과되지 않아 추후 기간이 더 소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