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3일 직접 오천 현장을 찾은 포항시 담당 관계자들이 SRF대책위원회와 주민들의 의견을 듣고 있다.ⓒ독자제보
포항 남구 호동 636번지에 위치한 포항SRF 시설은 지난 2008년부터 국비 641억원, 도비 13억5천만원, 시비 53억8천만원, 민자 826억원 등 총 1534억원이 투입돼 올해 2월 18일부터 상업운영을 시작했다.
이 시설은 운영이후 낮은 소각장 굴뚝높이가 문제시 되며 악취발생과 대기 오염물질 등이 배출되고 있다는 민원에 최근 운영중단 및 폐쇄를 요청하는 포항시민청원 2호로 등장했다.
포항시의 입장에서는 시민들이 매일 배출하는 생활쓰레기의 처리를 위해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은 매립하거나 에너지화(SRF) 두 가지 방법밖에는 없다.
그러나 포항시 매립장의 현재 매립율은 89%로 오는 2020년이면 포화상태가 예상되며 추가 매립이 어려운 상황으로 SRF 시설의 선택은 불가피했다.
더욱이 지난 10년의 시간동안 추진해 이제 상업운영에 들어간 SRF 시설을 시민청원이 있다고 문을 닫을 수도 없는 상황이며 문을 닫을 경우 그 부담은 포항시민 전체가 떠안아야 된다.
포항시민청원 2호인 SRF 시설의 운영중단 및 폐쇄청원이 나온 이유는 이 시설에 대한 신뢰를 포항시가 시민들에게 안겨 주지 못한데 있다는 지적이 높다.
포항시가 이 SRF 시설을 만들면서 시민들과의 대화, 정보제공 등에 적극적으로 나섰다면 시민청원은 물론 SRF 시설에 대한 혐오감이 지금처럼 높지는 않았을 것이다.
다소 늦었지만 포항시가 복지국과 환경녹지국을 필두로 대시민 소통에 나섰다는 점은 격려할 만 대목이다.
또 시민들의 물음과 의혹에 원론적인 답변보다는 적극적인 정보제공을 통해 같이 동의하며 혹여 잘못된 점이 있다면 같이 고민하고 이를 개선하려는 상생의 행정을 내놓을 시점이다.
24일 정기석 복지국장과 하영길 환경녹지국장을 비롯해 담당부서인 자원순환과 안승도 과장과 정영화 환경식품위생과장 등이 주민들을 찾아 소통의 문을 열고자 하는 노력을 보였다.
이날 만남의 자리는 '상견례'라는 의미를 남겼지만 직접 소통을 위한 포항시의 노력은 '불통행정'보다 '소통행정'의 기본을 실천했다는 점에서 돋보였다.
향후 주민들과의 대화를 지속하겠다는 포항시의 노력으로 불신을 벗고 신뢰를 줄 수 있는 포항SRF 시설이 될지 지켜볼 일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