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덕군이 계획하고 있는 '에너지산업 융복합단지' ⓒ영덕군
영덕군은 탈원전의 대안으로 떠오른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를 향후 영덕군의 주력 산업군으로 만들어 미래 성장동력으로 창출하겠다는 것이다.
영덕군은 천지원전 건설예정부지였던 영덕읍 석리 일원 330만㎡(약 100만평)를 대상으로 오는 2024년까지 국비 5천억과 민자 1조5천억 등 2조원의 사업비로 '에너지산업 융복합단지'를 조성하기 위해 전방위적 노력을 기하고 있다.
영덕군은 '에너지산업 융복합단지'에 신재생에너지연구센터를 유치해 태양력, 풍력, 파력 등 복합발전시설 및 에너지융합기술단지를 조성하고 풍부한 친환경에너지를 활용한 관광지구 조성을 목표하고 있다.
또 산업고도화와 블루밸리 구현을 위한 4IR 관련 산업을 유치하고 풍부한 에너지와 4IR 관련 기술을 지역산업에 적용시켜 지역산업의 고도화를 도모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영덕군은 지난해 6월 산업통상자원부에 기본계획 수립 시 영덕군의 의견 수렴 및 반영을 요청했고 지난 5월 경북도에 조성계획 작성 시 산업부의 에너지산업 융복합단지 지정 요청을 협의했다.
그러나 지난해 6월에 제정된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의 지정 및 육성에 관한 특별법'이 아직 안정이 되지 않은 상황에 영덕군 단일의 '에너지 융복합단지' 유치가 쉽지만은 않은 상황이다.
단지의 지정에는 산·학·연이 연계돼 상호 유기적인 관계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하는 필수조건에 현재 영덕군이 안고 있는 상황이 녹록지 않기 떄문이다.
이 때문에 경북도는 포스텍과 포스코가 있는 포항권과 한수원이 있는 경주권역을 한데 묶어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를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영덕군 단일의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 구성에 난제로 작용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오는 11월경 에너지위원회의 심의를 통해 영덕군의 '에너지산업 융복합단지' 조성계획 확정 및 단지 지정을 마무리할 것으로 알려져 영덕군의 보다 적극적인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