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스코센터ⓒ포스코
포스코는 지난해 12월 무단침입, 절도, 폭행 등 혐의로 노조간부들을 해고와 정직처분을 내렸지만 중앙노동위원회는 이에 대해 포스코의 징계가 부당하다고 결론내린 것이다.
이번 중노위의 결정이 지역에 빠르게 확산되며 시민단체와 일부 시민들은 “포스코의 노조정책이 구시대적 사고에 머물러 있는 것 같다”며, “회사가 갑이 되어 대화가 아닌 힘으로 노조를 압박하는 과거의 방식은 벗어나야한다”고 노조정책에 대한 변화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정의당 경북도당 박창호 위원장은 포스코의 노사정책에 대해 “미래지향적인 노사관계를 위해서는 노조를 인정해야 된다”며, “노조를 인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미래로 나아갈 수가 있겠는가? 화합을 위해서는 노조를 대화의 상대로 받아들이고 거기서부터 노사관계는 출발해야한다”고 설명했다.
금속노조 포스코지회 한대정 지회장은 “회사와 노조는 함께 공존해야 한다는 생각이다”며 “더 이상 노조를 문제만 일삼는 불량배로 생각을 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또 “교섭권을 가졌다 해서 한쪽으로만 대화를 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생각 한다”면서 “금속노조 포스코지회도 엄연한 노조며 포스코의 가족이다”고 전했다.
한편 포스코 관계자는 “구시대적 사고를 가졌다고 판단하는 것은 잘못된 것 같다”며, “회사도 충분히 노조와 소통하고 있으며 대화를 통해 서로의 생각과 의견을 나누고 있다”고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