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항공정책자문회의 ⓒ경북도
대구·경북 통합신공항이 개항하면 연간 1,000만명 이상의 항공수요 수용이 가능하고, 장거리 국제항공노선(대륙간 노선)의 운영이 가능한 대형항공기의 운항이 가능한 활주로, 여객터미널, 주차장, 계류장 등이 확보된다.

▲공항용량 사슬 ⓒ경북도
윤종진 경북도 행정부지사는“대구·경북 통합신공항은 50조원 이상의 지역경제 유발효과가 있는 대역사인 만큼 관계전문가 등의 자문 및 검토를 통해 장래 항공수요를 감안한 충분한 규모로 건설될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이끌어 내겠다”라고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