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스코에너지 포항 연료전지 사업장 전경ⓒ포스코에너지
포스코에너지는 지난 6일 이사회를 거쳐 4개 본부 중 연료전지사업부를 분리해 전문성을 높인다는 취지로 연료전지 전문 자회사인 ‘한국퓨어셀’을 설립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 자회사 설립을 두고 내부 직원들은 “전문성을 높인다는 위장술로 연료전지사업부를 포스코에서 분리해 없애려 한다”며 “어려운 시기에 더 이상 우린 갈 곳이 없다”며 정리해고 등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
또 “회사는 현재 연료전지 원천기술 업체인 미국 FCE사와 포스코에너지 간에 원자재 직수입 및 기술이전 등 사업의 중요한 요소가 확정이 안 된 상황에서 연료전지사업본부를 먼저 분할하려 하는 것은 포스코그룹이 사업에서 손을 떼려고 하는 것이나 다름없다”고 주장했다.
한편 지난 2007년부터 시작된 포스코에너지의 연료전지 사업은 기대와는 다르게 매년 적자를 이어가며 누적적자만 6000억원이 넘는 것으로 알려져 포스코그룹의 입장에서도 상당한 부담이라는 것이 철강관계자들의 분석이다.
이런 상황에도 쉽게 사업을 정리할 수도 없는 것이 정부가 수소 경제정책을 추진하고 있는데다, 지난해 10월 국감에서 포스코에너지 박기홍 대표가 “현재 연료전지사업부의 적자폭이 크기 때문에 적자폭을 줄이기 위한 노력과 함께 LTSA가격 협상과 관련해 개별기업 간 협상을 진행하고 있는 등으로 연료전지사업을 지속할 것”이라고 밝혔기 때문이다.
포스코로선 정부의 정책과 박 대표의 국감장 발언까지 연계돼있어 연료전지사업의 중단은 당장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포스코에너지 다수의 직원들은 “적자로 인해 2016년 440여명이던 직원이 현재 200여명으로 반이나 줄었다”며, “포스코가 정말 연료전지 사업의 전문성을 키워 사업을 재개하려 한다면 분할이 아닌 지금의 상태에서 지속적인 투자와 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애타는 속내를 밝혔다.
이에 대해 포스코에너지 관계자는 “서로 오해가 있는 것 같다”며, “분할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고용불안을 느낄 수는 있겠지만 연료전지 전문회사를 설립하는 것이며, 직원들에 대해선 전원 고용승계를 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고 전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