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군 공중기동정찰사령부(이하 '기동정찰사')는 지난 6일부터 8일까지 3일간 충주기지 일대에서 항공추진보급기지(Air Terminal Supply Point ; 이하 ATSP) 훈련을 실시했다.
ATSP는 전시 수복지역에 원활한 공중 물자 보급을 위해 구축·운용하는 비행기지로서, 지상 보급에 제약이 많은 전시 상황에서 최전선 아군부대의 전투 지속 능력을 높이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일종의 '허브(HUB)‘
로 평가된다.
또한 ATSP는 평소 경험해 보지 못한 지역에 설치되기 때문에, 우선 긴급대응대대 기지평가대가 전개하여 활주로 등 주요 작전 시설물의 피해정도와 운용가능성, 부대 경계 및 안전, 비행장 상태를 확인하고 ATSP 설치 및 운영 계획을 수립하는 ’비행장 평가‘를 실시하게 된다.
74명의 작전요원을 비롯하여 111종의 장비 및 물자, C-130, CN-235 수송기 등의 전력이 참가한 가운데 실시되는 이번 훈련은 이러한 비행장 평가와 더불어 ATSP의 개소 및 운영을 위한 절차를 숙달하기 위한 것으로, 화물 및 인원 공수임무와 응급환자 항공의무후송 등이 중점적으로 진행됐다.
훈련 첫 날인 6일 소집된 기지평가대는 수복지역 비행장으로 가정한 충주기지로 전개했다. 기지평가대는 전개 직후 기지 내 주요지역에 대한 불발탄 및 화생방 오염구역 탐지 등 생존성 확보를 위한 기본절차를 수행했다.
기본절차 수행을 통해 최소한의 안전이 확보된 후 해당기지 작전 시설물들의 가용여부를 점검하고 활주로 운영 최소 기준에 맞춰 활주로 적합성 평가를 실시했으며 이러한 기지평가대의 분야별 점검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ATSP 운영을 할 수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어 기지 개소대 요원들이 현장으로 전개하여 지휘·의무시설과 더불어 임무수행에 필요한 각종 기상 및 항법, 통신장비를 설치하고, ATSP를 정상적으로 개소함으로써, 전방 지역 아군 전력의 숨통을 터주는 보급기지로서의 임무를 수행했다.
특히 이번 훈련에서는 실제 보급 물자와 똑같은 모의 물자를 준비해 C-130, CN-235 항공기로 공수함으로써 실전적 능력을 향상시켰으며, 후방지역으로 후송이 필요한 응급환자들이 발생한 상황을 가정하여 환자들을 C-130을 타고 도착한 항공 의무후송팀에게 인계하는 항공의무후송훈련도 병행하는 등 실전을 방불케 하는 다양한 훈련을 진행했다.
기동정찰사 연습훈련과장 전경민 중령은 “전쟁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완벽한 공중우세와 더불어 지상군 전력에 대한 신속하고 적시에 물자를 지원하는 것이 필수적”이라며 “이번 훈련을 통해 발전 및 보완 가능한 부분을 지속 식별하여 최상의 작전능력을 갖춰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