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미군기지이전사업단 박경서 창설준비단장(육군 소장)은 2일 오전 11시 20분 경기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주민 대표의 대화 참석, 기지이전 작업을 위한 공사활동 보장, 영농행위 중단에 대한 요구에 대해 범대위에 이날 오전까지 성의있는 답변을 해줄 것을 요구했는데 답변이 없다"며 "대화의 진의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행정대집행을 검토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국방부가 당초 예고한 행정대집행 시한인 7일 이전에 팽성읍 대추리, 도두리 일대 농지에 대한 행정대집행이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박 단장은 "행정대집행 시한이 7일이기 때문에 이를 넘기는 것은 국방부로서는 직무유기에 해당한다"고 말했다.
특히 국방부는 철조망 설치 등을 위해 공병대로 구성된 군 병력을 투입할 것으로 전해져, 민과 군이 충돌하게 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이에 대해 박 단장은 "행정대집행은 경찰과 용역직원, 법원 집달관 등이 주도적으로 시행하고, 투입되는 군 병력도 비무장한 공병이 될 것이기 때문에 민군 충돌은 절대 없을 것"이라고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대추리·도두리 주민들 "결사항전의 자세로 막겠다"
![]() |
반면 평택 범대위 측은 "국방부의 대화 제의가 들어주기 힘든 요구를 일방적으로 강요하는 등 결국은 명분 쌓기 수순에 불과했다"고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다.
현재 남아 있는 대추리, 도두리 주민들과 시민사회단체 등으로 구성된 평택 범대위는 2일 정오 기자회견을 열고 "국방부의 일방적이고 폭력적인 행태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대화를 위한 노력을 백방으로 기울일 것"이라며 "국방부는 지금이라도 최후통첩을 거두고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대화에 나서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이어 "국방부가 대화를 포기하고 물리력을 동원해 강제집행에 나설 경우 결사항전의 자세로 모든 것을 걸고 막아낼 것"이라고 경고의 메세지를 보냈다.
특히 김지태 이장(범대위 공동대표)은 "국방부는 대화 개시 30시간 만에 들어줄 수 없는 요구를 하며 최후통첩을 했다"며 "평화적 해결을 기대하며 대화를 시작했지만, 기지 이전 공사활동 보장 외에는 아무 말도 못하는 대화가 말이 되느냐"고 분노를 터뜨렸다.
김 위원장은 "이 싸움을 어떻게 하면 평화적으로 해결할 수 있을까 해서 대화에 나갔더니 보상문제와 기지건설 외에는 얘기하지 말라고 강압하는 게 말이 되냐"며 분통을 터트렸다.
천주교 정의구현사제단 "맨 앞에 서서 군인들 막겠다"
시민사회단체들의 대응도 예사롭지 않다. 지난 27일부터 대추리에 상주하며 미사를 진행하고 있는 천주교 정의구현사제단도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만일 군 병력을 투입하여 주민들을 제압하고자 무도한 강제집행을 벌일 경우 사제들이 맨 앞에 서서 이를 막아낼 것"이라고 경고했다.
녹색연합, 참여연대, 평화네트워크, 함께하는시민행동, 환경운동연합 등 시민단체들도 이날 오전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가 짧은 기간 동안의 대화노력을 물리적인 토지강제수용을 위한 명분용으로 삼아서는 결코 안 된다는 점을 분명히 하면서, 보다 근본적으로 평택 미군기지 확장에 대한 전면적인 검토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