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2000년에 비해 전세계 언론의 태도는 차분했고 날카로웠다. 회담 성과에 대한 '회의론'도 찾아볼 수 있었다.
특히 <뉴욕타임스(NYT)>는 이번 정상회담에 대해 "판을 크게 벌리는 두 명의 도박사가 한 자리에 모였다"고 평가했다. <NYT>는 이번 정상회담이 남북한 정상에게 기회이자 위기가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54년 만에 군사분계선(MDL) 넘는 장면 '관심'
![]() |
<BBC>, <CNN>등 세계 주요 외신들은 일단 54년 만에 남측의 대통령이 분단의 상징인 군사분계선을 걸어서 넘은 장면을 집중적으로 전했다.
영국의 <더타임스>는 노 대통령이 세계에서 가장 중무장된 국경인 군사분계선을 넘어 육로를 통해 북측으로 넘어간 첫 번째 한국 정상이라고 전했다. <BBC>는 "이 선이 점차 지워져 분단의 벽이 무너질 것"이라는 노 대통령의 발언을 소개하기도 했다.
독일의 시사주간지 <슈피겔>도 노 대통령의 군사분계선을 넘는 순간과 관련해 "마지막 냉전의 경계를 넘는 역사적인 발걸음"이라고 소개하며 한반도의 영구적 평화 정착에 대한 노 대통령의 굳은 의지를 상징하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미국의 <CNN>은 노 대통령이 군사분계선을 넘어가는 이 장면을 생중계하기도 했다.
"김 위원장에게 열정이 느껴지지 않았다"
외신들은 예정에 없이 4.25문화회관에 나타나 직접 노 대통령을 영접한 김 위원장의 행보에도 관심을 보였다. 일본 <교도통신>을 비롯한 <AP>등 외신들은 김 위원장의 모습이 확인되자마자 속보를 긴급히 타전했다.
하지만 2000년 평양 순안공항에서 이뤄진 역사상 최초의 남북정상의 만남과 달리 감격과 환호의 분위기보다는 차분한 모습이 주를 이뤘다.
특히 김정일 위원장의 표정과 노 대통령을 맞는 태도 등을 주로 소개하며 "피곤하고 웃음기 없는 표정"이라는 보도 등을 찾아볼 수 있었다.
<LA타임스>는 4.25문화회관에 나타난 김 위원장이 약간 피곤한 표정이었으며 공식 환영식 내내 웃지도 않았다고 전했다. <AP통신>도 "김 위원장의 모습에서는 열정이 느껴지지 않았다"며 "김 전 대통령을 박수로 맞이해 한국과 세계에 자신의 강경한 이미지를 부드럽게 했던 (2000년의) 감격적인 순간과는 완벽한 대조를 보였다"고 보도했다.
![]() |
2000년과 비교해 '차분', '회의론'도
이번 정상회담의 성과와 관련해서도 외신들은 차분하게 지켜보는 모습이었다. 일본 언론들도 2000년에는 호외까지 발행했었지만 이번에는 담담한 태도였다.
<NYT>는 노 대통령의 임기가 불과 5개월밖에 안 남았다는 점을 전하면서 이번 정상회담을 통해 노 대통령이 자신의 유산을 강화하고 차기 대선에 도움을 주려고 하지만 비핵화 등에 가시적 양보를 받아내지 못한 채 경제지원만을 약속한다면 국내에서 역풍을 맞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워싱턴포스트(WP)>는 "레임덕에 빠진 노 대통령이 예측할 수 없는 북한 지도자 김정일을 만나기 위해 방북했다"며 "인기가 낮고 임기가 제한돼 있는 노 대통령에게 여론의 변화는 그의 집권당이 절실히 필요로 하는 것"이라며 비판적인 시각을 보였다.
<WP>는"한국의 대통령선거를 두 달 앞둔 시점 때문에 정상회담의 동기에 대해 남한과 미국의 보수파들로 냉소적 반응을 받고 있다"고 전했다.
영국의 <더타임스>도 첫 번째 정상회담의 낙관적 분위기와 달리 이번에는 그와 같은 열기는 거의 없다고 전했고 <가디언>도 2월에 퇴임하는 노 대통령이 대선을 앞두고 정치적 승부수를 위해 너무 많은 것을 양보했다는 일각의 비난을 소개하기도 했다.
<알자지라>도 많은 한국인들이 역사상 두 번째로 열리는 남북정상회담의 성과에 회의적인 반응을 보이는 듯하다고 전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