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새벽 검거돼 현재 종로경찰서에서 조사를 받고 있는 박원석, 한용진 광우병 국민대책회의 공동상황실장 등 5명과 관련해 경찰이 '화투판' 운운하며 황당한 '화투 공방'이 벌어지고 있다.
<연합뉴스> 등 일부 언론은 경찰의 말만 그대로 옮겨 이날 수배자들이 강원도 동해시 한 호텔에서 검거될 당시 "화투를 치고 있었다"고 보도했다. "수배자 가운데 1명이 1층 호텔 프런트를 찾아와 '화투'를 달라고 요구했고, 여종업원 A씨가 이를 거절하자 이 수배자가 밖으로 빠져나갔다"는 것.
이 보도를 보면, 이 수배자가 빠져나간 뒤 강력계 소속이라는 경찰이 A씨에게 "방금 나간 남자의 일행 여부를 확인해 달라"고 요구했고, 경찰의 등쌀에 A씨가 개인용으로 가지고 있던 화투를 수배자에게 가져다주며 인원 수를 경찰에 확인해 줬다는 것. 결국 경찰은 이 '화투'의 도움으로 이들을 전원 검거하는 데 성공했다.
이런 경찰의 말을 토대로 <연합뉴스> 등은 "촛불 집회 수배자들, 검거 당시 '화투판'"이라는 제목으로 이 같은 내용을 보도했다. 그러나 광우병국민대책회의와 검거된 수배자의 변호인은 "사실이 아니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경찰에 대한 비난, 화투 조작 사건으로 돌리고 싶었나?"
![]() |
국민대책회의는 수배자들을 접견한 변호사의 설명을 토대로 이렇게 설명했다.
"전국적인 감시망이 삼엄하게 가동되는 상황에서, 수배자들은 숙박시설 근무자의 눈길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었다. '남자 5명이 관광지 근처 숙박 시설에 투숙할 때, 보통의 사람이라면 어떻게 할까'를 고민했으며, 그에 따라 일부러 카운터 근무자에게 찾아가 화투를 요청한 것이다."
처음 프런트에 화투를 요청한 게 철저히 '위장용'이었다는 얘기다. 대책회의는 더 나아가 "이번 '화투' 사건은 경찰의 의도된 조작"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이 한 자리에 모인 이유는 3일과 5일 준비했던 수배자 공동 기자 회견이 무산된 이후 다음 계획을 고민하기 위해서였다. 한가하게 화투를 칠 상황이 아니었다는 것.
대책회의는 "경찰이 촛불 수배자 연행을 계기로 경찰의 불법적이고 부당한 촛불 탄압 비판 여론이 다시 한 번 크게 일어날 것을 우려해 국민의 시선을 화투로 유인하기 위해 무리수를 둔 것"이라고 비판했다.
한편, 이날 검거된 수배자 5명의 변호인으로는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 소속 변호사 7명이 나설 예정이다. 이들은 재판 과정에서 촛불 시위의 정당성 및 집시법의 위헌성 여부에 대해 재판정을 상대로 강하게 피력할 계획이다.
검거된 이들은 현재 경찰 조사에서 묵비권을 행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