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국민 세금으로 지원한 사업이 결국 특정 기업 배불리기에 이용됐다고 볼 수 있다.
세제 지원에 원자재가격까지 인하됐는데 차값은 최고 13.9% 올라
15일 박선숙 민주당 의원(예산결산특별위원회)은 국회 예산정책처가 제출한 자료를 바탕으로 "정부가 자동차 산업에 세제지원을 하는 동안, 포스코에서 공급하는 자동차용 원자재 가격이 15%가량 인하됐음에도 이 기간 현대·기아자동차는 두 차례에 걸쳐 판매가격을 최고 13.9% 인상했다"고 지적했다. 같은 기간 물가상승률은 2.3%대로, 자동차 출고가 인상폭의 1/6에 불과하다. 재정 악화를 무릅쓰고 실시한 정부의 세제지원이 대기업의 독점적 이익을 보장하는데 그쳤다는 말이다.
자동차 세제지원은 지난해 말부터 올해 6월까지 실시된 승용차 개별소비세 30% 인하 조치를 포함할 경우 1년에 걸쳐 진행됐다. 이 정책에 힘입어 경기침체에도 불구, 지난 6월 대형승용차 판매대수는 8677대로 상반기 최대 판매대수를 기록했다.
| ▲ 현대차가 지난해 정부의 세제지원에도 불구하고 신차 가격을 최고 13.9% 올렸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뉴시스 |
그러나 박 의원 측에 따르면 올해 말 현재 베르나 1.4 기본사양의 판매가격은 991만 원에 달한다. 즉, 지난해 말부터 올해 말 사이 이 차량의 판매가격은 121만 원이 인상된 셈이다. 이 기간 베스트셀링 카인 쏘나타의 판매가격 인상률 역시 7%에 달했다.
GM대우, 르노삼성은 가격 인하
두 차례나 가격을 인상한 현대차와 달리 경쟁회사 차량의 올해 말 판매가격은 4월 당시보다 인하됐다. GM대우 라세티 1.6의 올해 4월 판매가격은 1333만 원이었으나, 연말 현재는 1294만 원이다. 39만 원 떨어졌다. 르노삼성 SM5 2.0도 현재 판매가가 4월 대비 81만 원 하락한 2050만 원이다.
현대·기아자동차는 신차 출고로 인해 가격이 인상됐다는 입장을 박 의원 측에 보냈다. 투싼의 경우 새 엔진(디젤 2WD MX AT→디젤 2WD LX20 AT)을 얹은 모델이 나왔고, 투싼ix라는 신모델이 출시돼 비용이 늘어났다고 했다. 쏘나타 역시 같은 이유로 출고가가 오를 수밖에 없었다고 현대·기아자동차는 밝혔다.
이에 대해 박 의원은 "현대·기아차가 지난 1년 사이 모든 차종을 신차로 변경한 게 아니다"라며 "신차 출시에 따른 기술개발비가 가격 인상에 당연히 포함돼야 한다면, 현재 컴퓨터 가격은 5년 전보다 수십 배 이상 올라야 할 것"이라고 꼬집었다.
박 의원은 "결국 (세제지원은) 대기업에 독점적 이익을 보장하면서 국가재정은 물론 지방재정 악화만 초래했다"며 "대기업 횡포에 무감각한 정부로 인해 소비자는 세제지원에 따른 구매가격 인하 효과를 받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 공정위 "현대·기아차 무혐의" 이와 관련해 공정거래위원회는 지난달 "정당한 이유 없이 공급에 필요한 비용의 변동에 비해 판매가격을 현저하게 상승시킨 것으로 보기 곤란하다"며 "시장지배 남용행위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결론냈다. 이에 대해 박 의원은 "가격 인상에 따라 소비자는 실질적인 세수감면 혜택을 누리지 못하고, 자동차 회사만 세제지원과 더불어 가격인상에 따른 이득까지 누렸다"며 "공정위 조사 결과는 초라하기 그지없다"고 비판했다. 박 의원은 "공정위는 신고시점(2007년 1월)을 기준으로 지난 2005~2007년 기간만을 조사대상으로 했다"며 "내수와 수출가격 차이 문제의 제기는 올해 국정감사에서도 지적했고, 공정위도 지난 4월부터 관련 작업을 진행했음에도 작년과 올해 판매가를 조사 대상으로 하지 않았다는 점은 이해하기 어렵다"고 했다. 그는 또 "공정위가 '국내 판매가격 변동률과 국내 물가지수 변동률 비교 결과 현저한 차이가 없다'고 결론냈으나 이 역시 사실과 다름이 밝혀졌다"며 "공정위는 다시 답변을 내놓아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