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스북 트위터

최종편집 2025년 08월 03일 22시 01분

  • 제보
  • 문의
  • 회원가입
  • 로그인

프레시안

  • 홈
  • 오피니언
  • 정치
  • 경제
  • 사회
  • 세계
  • 문화
  • Books
  • 전국
  • 스페셜
  • 협동조합
  • 강원
  • 부산/울산
  • 경남
  • 광주/전남
  • 대전/세종/충청
  • 전북
  • 대구/경북
  • 제주
  • 경인
  • 경기북부
  • 협동조합 탐방
  • 함께자리
검색
  • 홈

  • 오피니언

  • 정치

  • 경제

  • 사회

  • 세계

  • 문화

  • Books

  • 전국

    • 강원
    • 부산/울산
    • 경남
    • 광주/전남
    • 대전/세종/충청
    • 전북
    • 대구/경북
    • 제주
    • 경인
    • 경기북부
  • 스페셜

    • 협동조합 탐방
    • 함께자리
  • 협동조합

검색

"세월호"검색결과 (전체기사 중 1000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

정렬
  • 최신순
  • 정확도순
기간
~

"尹 정부, 세월호 선장·박근혜 정부와 무엇이 다른가?"

이태원 참사는 '국가'가 본연의 책무를 이행하지 못해서 발생한 참사로, 경찰뿐만 아니라 지자체, 행정안전부도 이번 사태에 관한 법적·정치적 책임을 져야 한다는 날선 비판이 법조계와 시민단체로부터 나왔다.  참여연대와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민변)은 8일 서울시 서초구 민변 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참사 후 지자체와 행안부가 '주최자가 없는 행사'라는 등의 이유로 책임을 회피하려 하는 태도를 강하게 비판했다. 오민애 민변 '10.29 참사' 대응 TF(이하 TF) 공동간사 변호사는 △용산구가 이미 3년 전 핼러윈 축제 당시

이상현 기자

2022.11.08 18:45:52

금태섭 "尹정부, 자꾸 책임 전가…이러다 세월호 참사처럼 간다"

금태섭 전 의원이 윤석열 정부의 이태원 참사 대응과 관련해 "지금 책임을 전가하는 것처럼 보이는 모습"이라며 "당장은 어떨지 몰라도 국민들 마음에 불안과 불만과 분노가 쌓이다 보면 세월호 참사처럼 가는 것"이라고 경고했다. 금 전 의원은 7일 SBS 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 출연해 "국민의 입장에서 봤을 때는 대통령도 정부고 경찰도 정부고 대통령실도 정부다. 만약에 경찰이 제대로 못 했고 정말 정치경찰적인 행태를 보였다 하면 그거는 정부 전체의 책임인 것"이라며 "대통령실에서 경찰이 저랬어요 하고 있으면 국민들 입장

이명선 기자

2022.11.07 11:51:27

인권위, 이태원 참사 "국가 책임 인정하고 후속조치해야"

국가인권위원회(인권위)가 이태원 참사와 관련 "국가 책임 인정하고 후속조치"를 해야한다는 위원장 성명을 발표했다. 인권위 송두환 위원장은 4일 성명에서 "대한민국 헌법은 국가에 인간의 존엄성과 생명권 등 국민의 기본적 인권을 보장하고 재해를 예방하며 그 위험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할 의무를 명시"하고 있다며 이번 이태원 참사에 대해 "정부는 예견된 위험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여 국민을 보호하지 못한 국가의 책임을 분명히 인정"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한 "국민의 생명과 안전 문제에 있어 세월호 참사 이전과 이후는 반드시 달라야 한다

이상현 기자

2022.11.04 14:36:57

홍준표 "위기에 머뭇거리면 제2의 세월호 사태…"

홍준표 대구시장이 "위기에 머뭇거리면 제2의 세월호 사태를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고 윤석열 정부에 조언했다. 홍 시장은 3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대북은 강경하게, 내부는 단호하게"라면서 "잘 헤쳐 나가시리라 굳게 믿습니다"고 글을 남겼다. 그는 '이태원 참사'와 '북한 도발'의 상황을 가리켜 "부위정경(扶危定傾), 이럴 때 쓰는 말"이라고도 말했다. 이는 '위기를 맞아 잘못됨을 바로 잡고 나라를 바로 세운다'는 뜻의 사자성어다. 홍 시장은 이어 "이번 주말 애도기간이 끝나면 서울시와 정부에 사태 수습을 맡기고 대구시는 일상으

권용현 기자(=대구)

2022.11.03 18:05:16

'다시 찾아온 재난'…합동 분향소 찾는 시민들

'가습기살균제' 참사로 2011년에 32살의 동생을 떠나보낸 A씨는 31일 오후 서울광장 합동분향소를 나오며 연신 눈물을 닦았다. 분향소를 나와 시청 광장을 걸으면서도 눈물을 참는 그의 몸이 들썩거렸다. 그는 "동생의 죽음이 많이 생각났다"라며 연신 눈물을 흘렸다. "동생을 보내고 나서 재난을 볼 때마다 참담하고 마음이 아파요. 가습기살균제도 그렇고, 세월호도 그렇고 얼마든지 막을 수 있었는데 또 막지 못했다고 생각해요." 같은 날 오후 2시경. 녹사평역 광장에도 합동분향소가 설치됐다. 노란색 옷을 입은 30여 명의 세월호 참사

이상현 기자

2022.10.31 16:28:35

주요 외신 이태원 참사 일제히 톱 기사…"세월호 이래 가장 큰 평시 재난"

주요 외신이 한국 이태원 핼러윈 압사 참사를 일제히 머리기사로 다루며 세월호 참사 이래 가장 큰 인명 사고라고 보도했다. 외신들은 희생자 대다수가 젊은층이라는 데 주목하고 세월호 참사 뒤 공공 안전을 개선하기 위해 정부가 실질적 조치를 취했는지에 대한 조사가 촉발될 것으로 전망했다.  29일(현지시각) 주요 영미권 외신들은 이태원 참사를 머리기사로 배치하고 실시간 업데이트 보도를 제공하며 크게 주목했다. <워싱턴포스트>(WP)는 이번 참사가 "304명의 희생자를 낳은 2014년 세월호 참사 이래 한국에서 일어난 최악의

김효진 기자

2022.10.30 14:48:24

[경기도국감] '세월호 예산으로 요트체험?'…서범수 "민간단체 주머니 채우기 사용"

세월호 희생자 추모와 유가족 지원을 통한 공동체 회복에 쓰여야 할 예산이 엉뚱한 곳에 사용돼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14일 진행된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경기도청 국정감사에서 서범수(국민의힘·울산 울주군) 의원은 "세월호 지원 예산이 민간단체의 주머니 채우기에 사용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서 의원이 경기도 등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를 살펴보면, 2017~2022년 '세월호 희생자와 유가족 및 피해자 지원을 통한 공동체 회복'을 위해 약 110억원의 규모의 국비 및 지방비 예산이 지원됐다. 110억원의 예산을 지

권혁민 기자,전승표

2022.10.14 16:39:38

전주 세월호 천막분향소 철거 불가피할 듯…전주시, 행정대집행 예고

전국 유일의 세월호 천막 분향소에 대한 철거가 불가피할 전망이다.전북 전주시는 5일 세월호 분향소 철거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자진철거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행정대집행에 나선다는 방침을 재확인했다.전주시는 이날 세월호 분향소 철거에 대한 지속적인 민원 제기를 제시했다. 풍남문광장을 이용하는 시민과 주변 상가로부터 광장 이용 불편 및 이미지 훼손, 경관 저해 등의 이유로 철거 민원 제기가 끊이질 않는다는 것이다.또 풍남문광장은 시민 휴식을 위한 열린공간인 점을 비롯, 가로수에 설치한 현수막 등에 따른 시설물 훼손도 철거 이유로 들고 있

권희성 기자(=전주)

2022.09.05 12:07:33

전북평화와인권연대 "전주 풍남문 세월호분향소 철거시도 중단"

전북평화와인권연대는 3일 '전주시는 풍남문광장 세월호 분향소에 대한 철거시도를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전북평화와인권연대는 이날 발표한 성명을 통해 "세월호 분향소가 공유재산인 풍남문광장을 무단 점용한 것이라며 자진 철거를 하지 않을 경우 행정대집행을 계고했다"면서 "세월호 분향소를 지키는 시민들이 전주시와 대화를 추진했으나 이마저도 제대로 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 단체는 "세월호 참사 이후 8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진상규명이 제대로 이행되지 않으면서 참사 이후 다른 사회를 만들어야 한다는 시민들의 목소리가 계

김대홍 기자(=전북)

2022.08.04 08:00:35

[경기교육소식] 4·16민주시민교육원 ‘부모·자녀 함께 기억하는 세월호’ 행사 등

□ ‘4·16 기억 동행 가족 캠프’ 참가자 오는 18일까지 모집 경기도교육청 산하 4·16민주시민교육원은 도내 청소년 자녀를 둔 가족을 대상으로 ‘4·16 기억 동행 가족 캠프’를 운영한다고 4일 밝혔다. 다음 달 13∼14일 열리는 이번 캠프는 4·16 세월호 참사에 대한 의미와 아픔을 부모와 자녀가 함께 기억하고 체험함으로써 세대 간 공감할 수 있는 소통의 장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전남 목포와 진도지역에서 진행될 캠프를 통해 참가자들은 △기억의 숲 △진도항 △팽목기억관 △목포근대역사관 △세월호 선체 등을

전승표 기자

2022.07.04 16:19:21

  • ◀ 처음
  • 11
  • 12
  • 13
  • 14
  • 15
  • 마지막 ▶
  •  
  •  
  •  
  •  
  •  
  •  
  •  
프레시안
  • 조합소개
  • 기사제보
  • 저작권 정책
  • 이메일 무단수집거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방침
  • RSS

프레시안협동조합 | 사업자번호 101-81-69524 | 대표 전홍기혜
제호: 프레시안 | 신문사업·인터넷신문사업 등록번호 서울아00083 | 창간 2001.9.24 | 등록 2005.10.12 | 발행인·편집인 전홍기혜 | 청소년보호책임자 김봉규
(04043) 서울시 마포구 서교동 395-73 BK빌딩 101호(양화로 10길 49 BK빌딩 101호) | 02-722-8494 | FAX 02-6008-8400

Copyrightⓒ Pressian Coo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