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스북 트위터

최종편집 2025년 09월 02일 01시 05분

  • 제보
  • 문의
  • 회원가입
  • 로그인

프레시안

  • 홈
  • 오피니언
  • 정치
  • 경제
  • 사회
  • 세계
  • 문화
  • Books
  • 전국
  • 스페셜
  • 협동조합
  • 강원
  • 부산/울산
  • 경남
  • 광주/전남
  • 대전/세종/충청
  • 전북
  • 대구/경북
  • 제주
  • 경인
  • 경기북부
  • 협동조합 탐방
  • 함께자리
검색
  • 홈

  • 오피니언

  • 정치

  • 경제

  • 사회

  • 세계

  • 문화

  • Books

  • 전국

    • 강원
    • 부산/울산
    • 경남
    • 광주/전남
    • 대전/세종/충청
    • 전북
    • 대구/경북
    • 제주
    • 경인
    • 경기북부
  • 스페셜

    • 협동조합 탐방
    • 함께자리
  • 협동조합

검색

"가덕도"검색결과 (전체기사 중 194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

정렬
  • 최신순
  • 정확도순
기간
~

충청 구애 이낙연 "세종의사당 추진"...PK 구애 김부겸 "가덕도 신공항 찬성"

8.29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선거를 앞두고 경쟁중인 이낙연 후보와 김부겸 후보는 균형발전 정책으로 지역민심 잡기에 나섰다. 이 후보는 국회 세종의사당 추진 의사를 밝혔고, 김 후보는 가덕도 신공항에 대한 조건부 찬성의사를 내걸었다. 이 후보는 31일 세종시를 방문해 국회 이전용 부지 등을 둘러본 뒤 "우선 여야 합의가 가능한 국회 세종의사당부터 추진해야 한다"며 "국회와 청와대 전부 이전이 행정수도의 완성"이라고 강조하며 충청민심 잡기에 나섰다. 그는 "한국판 뉴딜이 국가 균형발전에 기여하도록 추진되어야 한다"며 "한국판 뉴딜의

박정연 기자

2020.07.31 15:34:33

총선 치른 부산시민들이 가장 바라는 것 '가덕도 신공항 건설'

21대 총선 관련 부산 지역 유권자 인식조사 결과 코로나19 극복 후 우선 추진 경제 현안 사업은 가덕도 신공한 건설 결정으로 나타났다. <프레시안> 의뢰로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가 부산시민 821명을 대상으로 지난 16일 진행한 '부산광역시 총선 사후 여론조사'에 따르면 '코로나19를 극복한 이후 부산 지역 경제 회복을 위해 가장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현안 사업'으로 응답자의 30.1%가 가덕도 신공항 건설 결정을 꼽았다. 그 다음으로 2차 공공기관 지방 이전(23.9%), 2030월드엑스포 부산 유치(17.

부산.울산 취재본부

2020.05.20 15:19:05

서병수 "文대통령, 이제 가덕도 신공항 건설한다 선언하라"

21대 총선 이후부터 다시 동남권 관문공항 건설에 대한 목소리가 쏟아지기 시작한 가운데 서병수 전 부산시장이 이제 그만 선거용으로 이용하고 문재인 대통령이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촉구했다. 서 전 시장은 19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문재인 대통령, 이제 가덕도 신공항을 건설하겠다고 선언하시라. 쌍수를 들고 환영하겠다"고 밝혔다. 최근 더불어민주당 소속 부산지역 21대 총선 당선인들이 정세균 국무총리를 만나 동남권 관문공항 검증의 조속한 마무리를 촉구한 데 이어 지역 시민사회에서도 계속해서 정 총리에게 공항 건설에 대한 입장을

박호경 기자(=부산)

2020.05.19 18:19:46

송영길 국회의원, 김해와서 무슨말 했나?

김해신공항이 아닌 동남권 관문공항이 되어야 하는 이유는...송영길 前 인천시장이자 現 국회의원이 김해공항의 확장 불가론을 끄집어냈다.6일 오후 4시 김해시청 대강당에서 '김해신공항 무엇이 문제인가'이라는 주제로 특강에 참석한 송영길 의원이 김해공항의 한계를 지적했다.송 의원은 동남권 관문공항은 일부 지역의 문제가 아닌 대한민국의 핵심적 국가 발전 전략이다고 하면서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세계 항공 수요에 대비하고 북방경제와 한반도 신경제 시대에 중추적 역할을 감당해야 한다고 말했다.송영길 의원은 동남권 관문공항의 부울경

조민규 기자(=김해)

2019.12.06 20:32:16

文 대통령, 오거돈 시장 부산대개조 추진에 '지원 약속'

문재인 대통령이 지역 경제투어 6번째 장소로 부산을 찾아 오거돈 부산시장이 추진하는 '부산대개조 프로젝트'에 대한 지원을 약속하면서 정책 추진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보인다. 부산시는 13일 오후 2시 사상구 폐공장인 대호PNC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오거돈 시장, 국토교통부·해양수산부 등 부처 장관, 정재계 인사 등 4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부산대개조 비전선포식'을 개최했다. 대호PNC는 5년 전 100여 명의 노동자들이 일하던 살아있는 생산의 현장이었으나 현재는 폐공장으로 새로운 도약의 계기를 기다리고 있다. 부산시는 대호PNC

박호경 기자(=부산)

2019.02.13 17:09:53

부산 가덕도서 어선 전복...승선원 전원 구조

부산 가덕도 인근 해상에서 유조선과 충돌한 어선이 전복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3일 부산해양경찰서에 따르면 이날 오전 4시 11분쯤 부산 강서구 가덕도 동두말 동쪽 5.9km 해상에서 유조선 A 호(149t, 승선원 4명)와 어선 B 호(3t, 다대선적, 승선원 1명)가 충돌했다. 이 충돌로 어선 B 호가 전복되면서 B 호의 선장 박모(59) 씨가 바다에 빠졌으나 다행히 유조선 A 호에 의해 구조됐다. A 호는 부산 신항에서 유류 공급 후 부산항으로 복귀차 항해 중이었고 B 호는 장림항에서 조업차 출항 중 A 호의 선수와 B 호의 우

박호경 기자(=부산)

2019.01.03 12:35:46

오거돈 "가덕도 신공항이 정답"...국토부 전면 재검토 요구

최근 부산·울산·경남지역에서 김해신공항 추진에 대한 반발이 거세지고 있는 가운데 부산에서 가덕도 신공항 건설을 위한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다. 오거돈 부산시장은 21일 오전 9시 30분 부산시의회 의원회관 지하 1층 회의실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소속 부산시의원 41명이 참가하는 의원총회에 참석해 김해신공항 건설에 대한 문제점을 설명하고 시의회의 협조를 요청했다. 먼저 오거돈 시장은 "15년 전부터 동남권 관문공항을 만들겠다는 이야기가 나왔다. 가장 먼저 나온 게 김해공항의 신공항 기능 수행 여부였으나 국토부와 부산시에서 수차례 용역

박호경 기자(=부산)

2018.12.21 12:08:19

정부 "가덕도 신공항은 검토할 사안 아니다"

경남 김해 신공항 대신 부산 가덕도에 공항을 지어야 한다는 주장이 정치권 일각에서 제기된 데 대해 정부는 김해 신공항 추진 방침에 변화가 없다는 입장을 보였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27일 최근 불거진 동남권 신공항 논란과 관련해 "이미 김해 신공항이 정부 내 의사 결정을 거쳐 추진되고 있는 만큼 공항 위치를 바꾸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이는 김현미 국토부 장관도 취임 1주년 기자간담회에서 밝힌 내용이다. 김 장관은 가덕도 신공항 추진 관련 질문에 "현재로선 검토 대상이 아니다"라고 못 박은 바 있다. 지역 사회에서

연합뉴스

2018.06.27 17:03:39

김성태 "대한민국을 통째로 문재인 정권 손아귀에…"

자유한국당 김성태 당 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가 대여 공세의 포문을 열었다.김 권한대행은 27일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혁신 비대위 구성을 위한 준비가 본 궤도에서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는 만큼 원내대표 본연의 임무에 충실하겠다"며 청와대 참모진 인사, 가덕도 공항 추진 등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청와대가 전날 송인배 제1부속비서관을 정무비서관으로 발탁한 데 대해 김 권한대행은 "유감"이라며 "드루킹 특검 수사가 개시된 마당에 국민을 향한 도전적 인사"라고 밝혔다.송 비서관은 '드루킹'을 김경수 경남지사 당선인에게 소개했고, 대선

이정규 기자

2018.06.27 11:50:44

"촛불 광장서 왜 '가덕도 아지매' 연설이 회자됐나"

촛불 항쟁의 결말은 해피엔딩일까? 동화책 마지막 구절처럼 '문재인 정권의 탄생으로, 대한민국의 국민들은 오래오래 행복하게 살았습니다'로 끝나는 것일까? 결코 아니다. 촛불 항쟁은 '박근혜 퇴진'이라는 챕터 하나만을 갈무리했을 따름이다. 문재인 정권 출범 이후에도 백만 촛불은 아니지만 미투(#Me Too)에서부터 대한항공 사태에 이르기까지 촛불은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촛불은 왜 항쟁으로 일컬어지며, 그것의 추동 원인은 무엇일까. 촛불이 꺼지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촛불 항쟁에 대한 평가, 향후 운동 방향을 이야기하는 토론의

서어리 기자

2018.05.18 17:38:33

  • ◀ 처음
  • 16
  • 17
  • 18
  • 19
  • 20
  • 마지막 ▶
  •  
  •  
  •  
  •  
  •  
  •  
  •  
프레시안
  • 조합소개
  • 기사제보
  • 저작권 정책
  • 이메일 무단수집거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방침
  • RSS

프레시안협동조합 | 사업자번호 101-81-69524 | 대표 전홍기혜
제호: 프레시안 | 신문사업·인터넷신문사업 등록번호 서울아00083 | 창간 2001.9.24 | 등록 2005.10.12 | 발행인·편집인 전홍기혜 | 청소년보호책임자 김봉규
(04043) 서울시 마포구 서교동 395-73 BK빌딩 101호(양화로 10길 49 BK빌딩 101호) | 02-722-8494 | FAX 02-6008-8400

Copyrightⓒ Pressian Coo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