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 05월 23일 10시 04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전두환"검색결과 (전체기사 중 600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
전두환 장남 재국 씨 "천문학적 액수의 명화 보관"
전두환 전 대통령의 장남인 전재국 씨가 천문학적 액수의 명화들을 보유하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민주당 신경민 의원은 20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전 씨가 경기도 오산 근처의 수장고에 국내외 화가들이 그린 천문학적 액수의 명화들을 보관하고 있다
임경구 기자
2013.06.20 15:24:00
여야, '전두환 추징법' 가족 재산 확대 놓고 격돌
전두환 전 대통령의 미납 추징금 환수 문제로 촉발된 이른바 '전두환 추징법'을 두고 여야가 20일 다시 한 번 격돌했다. 추징법을 심사 중인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여야 간사인 권성동 새누리당 의원과 이춘석 민주당 의원은 이날 오전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
선명수 기자
2013.06.20 12:04:00
전두환 일가의 '보물섬' 애용, 이렇게 막으면 된다
MB 정권 시절 해직된 언론인을 중심으로 출범한 인터넷 매체 <뉴스타파>는 지난달 22일 처음 해외 조세 도피처에 서류상 회사를 세운 한국인 명단을 공개했다. 이 과정에서 OCI 이수영 회장 부부, 대한항공 조중건 전 부회장의 부인, 전두환 전 대통령의 장남 전재국
조수진 내가만드는복지국가 조세팀장 변호사
2013.06.17 12:14:00
'국정원'과 '전두환'에게 발목 잡힌 박근혜, 선택은?
지난 13일 팟캐스트 <이철희의 이쑤시개>에 출연한 노회찬 진보정의당 공동대표는 이번 사건에 대해 "대선 결과 왜곡을 위한 조작 행위에 국정원장이 직접 나서 지휘했다는 것은 국기문란"이라며 박근혜 대통령이 나서 특별검사 시행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근혜
이명선 기자
2013.06.16 13:50:00
전두환 추징금, 박근혜가 받은 '6억 원'으로 불똥
전두환 전 대통령의 미납 추징금 논란이 박근혜 대통령에게로 불통이 튀는 모양새다. 추징금 환수 시효가 10월로 다가와 수사기관이 은닉 비자금 중 일부라도 찾아내지 못하면 영영 추징할 길이 없는 상황에서, 박근혜 대통령이 전 전 대통령에게 받았다는 6억 원이 재차 논
2013.06.13 12:25:00
박정희와 전두환은 왜 '부랑인'을 겨냥했나
노숙인에 대한 복지 서비스는 향상되고 있는 것 같다. 그러나 다른 한편, 규칙을 지키지 않는 자에 대한 처벌은 더욱 광범위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것은 거리 생활자에 대한 치안적 처벌이 다시 강화되고 있다는 증거이다. 과거와 다른 점이 있다면 이것이 독재자에 의한 것
임덕영 홈리스행동 회원·일본 리츠메이칸대학 대학원생
2013.06.12 17:25:00
朴대통령 "전두환 추징금, 과거 정부는 뭐했나?"
박근혜 대통령은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전두환 전 대통령 추징금 문제에 대해 "과거 정부는 무엇을 했는지 묻고 싶다"며 이전 정권 책임론을 제기했다. 박 대통령은 이 문제 뿐만 아니라 핵발전소 비리 문제까지 같이 묶어 "새 정부에 전가할 문제는 아니다"라는 입장을 밝
곽재훈 기자
2013.06.11 11:56:00
광주 시민들, 연희동 찾아 "전두환, 얼굴 한 번 보자"
잇달아 불거진 5.18 역사 왜곡 등에 분노한 광주 시민들이 10일, 전두환 전 대통령의 사저가 있는 연희동(서울 서대문구)을 찾아 전 전 대통령의 추징금 미납을 규탄하고 재산 환수를 촉구했다. 광주 지역 시민 단체 등으로 구성된 5.18역사왜곡대책위원회(이하 5.18대책위)
김덕련 기자
2013.06.10 18:38:00
'전두환 추징금 환수법' 물 건너가나?
전두환 전 대통령의 미납 추징금 환수 시효가 오는 10월로 다가오는 가운데, 민주당이 이른바 '전두환 미납 추징금 환수법'을 추진하자 새누리당이 '위헌'이라고 반대하면서 여야 공방전이 격화되고 있다. 새누리당은 "법리적으로 옳지 못한 부분이 있다
2013.06.10 18:37:00
"전두환, 6월항쟁 때 '부산에 군 투입' 명령"
1987년 6월항쟁 때 전두환 당시 대통령이 군대를 동원해, 민주화를 요구하는 부산 시민들을 진압하라고 지시했다는 증언이 나왔다. 증언자는 당시 경찰 총수이던 권복경 전 치안본부장이다.
2013.06.10 11:0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