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 05월 14일 12시 31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시민정치시평"검색결과 (전체기사 중 580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
"내일은 내일의 바람이 분다"
미련하게도 아직 대선 충격에서 못 벗어나 마음이 편치 못하다. 더해서 올겨울은 유난히 춥고, 막막하다. 그래도 또 이렇게 한 해가 저물고 있다. 사람의 마음은 회한의 한 해를 놓지 못해 미적거리고 있는데, 자연의 정연함은 어김없이 가을 다음에 겨울을 데려다놓았고 오
김균 고려대 교수·참여연대 공동대표
2012.12.28 07:59:00
노동자들의 자살로 시작된 박근혜 시대
박근혜, 최강서와 이운남의 죽음, 1,400만 표: 박근혜 당선인은 과반을 넘기는 득표로 제18대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문재인 후보는 한국 야당역사에서 기록에 남을 1,400만 표를 받았다. 그리고 불과 며칠사이로 한진중공업과 현대차 사내 하청 노동자가 스스로 목숨을 끊었
윤홍식 인하대학교 교수
2012.12.24 11:27:00
'멘붕'에 빠져 엄살을 떠는 진보진영에게
12월 19일 저녁을 꼬박 대선 특집 방송의 시청에 보냈다. 선거 과정에 개입할 사정은 아니었지만 나도 그 주권자의 하나인 대한민국의 시민으로서 향후 5년 동안 이 나라와 어떤 관계를 맺을지 결정해야 하는 중요한 순간이기 때문이었다. 결론은? 내가 지지하는 후보의 당선
홍윤기 동국대 교수
2012.12.20 15:16:00
투표장에 나가야 할 4000만 가지 이유
오는 12월 19일 투표해야할 이유는 4000만 유권자의 수만큼이나 많다. 지난 10월 29일 오후 6시경 경기도 파주시의 한 아파트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집안에서는 13살 누나와 뇌병변 1급 장애를 갖고 있는 남동생이 나란히 쓰러져 있었다. 누나는 중환자실에서 인공호흡기
장지연 노동연구원 선임연구원
2012.12.17 10:43:00
"박근혜가 진짜 '개혁적 보수'로 거듭났다면…"
대선이 코앞으로 다가왔다. 어두워 보였던 판도에 한 줄기 서광이 비치고 있다. 아무래도 안철수 전후보가 다시 등판해 일으킨 '안철수 효과'가 가장 클 것이다. 사실 시대 변화의 상징이 되었던 안철수가 무대에 등장하지 않았더라면 이번 선거는 진작 게임이 끝났
이병천 강원대 교수·<시민과 세계> 공동편집인
2012.12.13 11:15:00
"국민이 비극적 짝사랑 멈추게 하려면…"
막스 베버(1864~1920)는 '소명으로서의 정치'라는 책을 통해 현재의 보통선거에 의한 민주주의체제와 유사한 '지도자적 민주주의'가 확립되면서 직업 정치인과 정당시스템이 등장하고 발전하게 되었다고 설명한 바 있다. 베버에 의하면 선거를 통해 정치적
박주민 변호사·참여연대 공익법센터 실행위원
2012.12.10 11:22:00
"'박근혜 대통령', 말이 씨가 된다"
늘 명징한 언어와 신선한 사유로 내게 울림을 주던 작가 고종석은 절필 선언 이후에도 트윗은 자주 한다. 그가 날리는 트윗들이 참 재밌다. 어떤 때는 칼럼들보다도 더. 요즘 내가 유심히 살펴보는 것은 그의 대선 관련 예언이다. 그의 확신에 찬 단언에 따르면 다음 대통령
장은주 영산대학교 교수·<시민과 세계> 편집주간
2012.12.06 11:14:00
"법에도, 악마는 각론에 숨어있다"
대한민국의 법은 철탑 위에서만 휘날리는가? 울산의 황량한 벌판, 현대자동차가 자리잡고 있는 바로 그곳에 법과 정의를 외치는 두 사람이 150m 상공의 철탑에서 벌써 50일째 목숨을 건 농성을 하고 있다. 자본, 특히 대기업에는 무한히 취약하여 계급사법이라 비판받는 법원
한상희 건국대 교수·참여연대 운영위원장
2012.12.03 11:11:00
"협동조합이 대세? 진짜 대세 되려면…"
대세, 협동조합 ! 12월 1일, 협동조합기본법 시행일을 코앞에 두고 있는 요즘 시민사회단체와 자치단체의 대세는 확실히 협동조합이다. 사회적기업이든, 자활기업이든, 마을기업이든, 시민사회단체이든, 자치단체이든 모두 협동조합과 관련된 내용으로 수렴되고 있다.
문보경 사회투자지원재단 부설 사회적경제연구센터 부소장
2012.11.29 10:27:00
"스폰서, 그랜저 이어 性검사까지 등장한 이유?"
본질을 못 보는 것일까, 아니면 외면하고 싶은 것일까. 어느 청년변호사단체 대표는 로스쿨이 문제라고 했다. 법률적 소양과 책임감이 부족한 사람을 곧바로 검사로 임용할 수 있도록 한 로스쿨 출신 검사 선발시스템이 이 같은 문제를 불러일으켰다고 진단한다. 사법연수원
하태훈 고려대 교수·참여연대 사법감시센터 소장
2012.11.28 11:57: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