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스북 트위터

최종편집 2025년 08월 16일 15시 29분

  • 제보
  • 문의
  • 회원가입
  • 로그인

프레시안

  • 홈
  • 오피니언
  • 정치
  • 경제
  • 사회
  • 세계
  • 문화
  • Books
  • 전국
  • 스페셜
  • 협동조합
  • 강원
  • 부산/울산
  • 경남
  • 광주/전남
  • 대전/세종/충청
  • 전북
  • 대구/경북
  • 제주
  • 경인
  • 경기북부
  • 협동조합 탐방
  • 함께자리
검색
  • 홈

  • 오피니언

  • 정치

  • 경제

  • 사회

  • 세계

  • 문화

  • Books

  • 전국

    • 강원
    • 부산/울산
    • 경남
    • 광주/전남
    • 대전/세종/충청
    • 전북
    • 대구/경북
    • 제주
    • 경인
    • 경기북부
  • 스페셜

    • 협동조합 탐방
    • 함께자리
  • 협동조합

검색

"참사"검색결과 (전체기사 중 1000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

정렬
  • 최신순
  • 정확도순
기간
~

창원 윤한홍 의원, 이태원 참사 명단 공개에 '헉헉'

윤한홍 경남 창원시마산회원구 국회의원이 '이태원 참사' 희생자 명단 공개에 대해 혹평을 쏟아냈다. 윤 의원은 14일 성명서를 내고 "의견이 다른 정치집단을 공격하기 위해 거짓 의혹제기와 정치공작을 일삼는 것은 잘못이다"며 "이번에는 정말 두 눈으로 보고도 믿기 어려운 상황이다"고 이같이 쓴소리를 냈다. 그러면서 "희생자 명단공개 요구는 민주당이 주도해 왔다. 이재명 대표가 나서 공개적으로 희생자들의 이름은 물론 얼굴 공개까지 요구해 왔다. 하지만 희생자 명단이 공개되자 정작 민주당 의원들은 약속이나 한 듯 침묵하고 있다"고 의미

조민규 기자(=창원)

2022.11.15 09:55:49

이상민 행안부 장관, 소방관들에게 '직무유기' 고발당했다

소방 노동자들이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을 형사 고발했다. 14일 대한민국공무원노동조합총연맹 국가공무원노동조합소방청지부(이하 공노총 소방노조)는 이태원 참사와 관련해 직무유기와 업무상과실치사상 혐의로 국가 재난 및 안전관리 총책임자인 이 장관을 경찰에 고발했다. 공노총 소방노조는 이날 서울 마포구 경찰청 특별수사본부로 고발장을 제출하러 방문하는 자리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이태원 참사는 재난관리 예방 및 사전 안전조치가 무너져" 발생했다며 "재난안전법에 따라 행안부 장관은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가 행하는 재난과 안전관리 업무를 총괄할

이대희 기자

2022.11.14 13:24:21

尹대통령 지지율 약보합…'잘한다' 34.6%, '잘못한다' 63.4%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수행 평가 여론조사 결과가 지난 10월말 이후 약 2주간 큰 변동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태원 핼러윈 참사(10.29) 약 보름이 지난 시점에서다. 14일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에 따르면, 이 기관의 주간 정례 조사 11월 2주차에서 윤 대통령이 대통령 직무를 잘 수행하고 있다는 긍정적 평가는 34.6%로 나타났다. '잘못하고 있다'는 부정 평가는 63.4%였다. 긍정 평가는 지난주 조사 대비 0.4%포인트 상승, 부정 평가는 1%포인트 상승했다. 2주 전 조사(10월 4주차) 때와 비교하면

곽재훈 기자

2022.11.14 08:32:36

국가 사라진 '10·29 참사'… 책임 부재 속 '선제적·실제적 조치' 눈길 끈 경기도

157명의 꽃다운 생명들이 우리의 곁은 떠난 ‘10·29 참사’가 발생한 지 어느덧 보름의 시간이 지났다. 메르스와 세월호 참사에 이어 코로나19까지…. 이번 참사의 피해자 대부분은 ‘노는 즐거움’을 박탈당한 채 자란 세대였고, 심지어 그 중에는 성인이 된 뒤에도 캠퍼스의 낭만을 느끼지 못한 채 집 안에 갇혀 온라인으로 수업을 들어야만 했던 학생들도 있었다. 그랬던 그들이 조금이나마 ‘유희의 자유’를 얻게되면서 처음으로 자신의 나이에 꼭 경험해 봐야 할 ‘노는 즐거움’을 깨닫기 위해 세상으로 나왔다가 한순간 비극의 주인공이 됐다

전승표 기자

2022.11.13 17:08:22

폭우 뚫고 밝힌 5만 개 '촛불' … "이태원 참사, 국가책임이다"

"막을 수 있었습니다. 살릴 수 있었습니다." 전국 100여개 시민단체들이 이태원 참사에 대한 '국가의 책임'을 물으며 촛불을 들었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10.29참사청년추모행동, 정의당 등 100여개 시민단체 및 진보정당들은 12일 저녁 서울 중구 숭례문 앞 세종대로에 모여 '이태원 참사, 국가 책임이다. 책임자를 처벌하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시민추모 촛불집회를 열었다. 앞서 같은 날 오후 3시부터 5시까지 진행된 전국노동자대회에 참여한 민주노총 조합원들도 현장에 남아 촛불집회에 참여했다. 저녁부터 여타 시민사회 단체

한예섭 기자

2022.11.12 20:09:02

'이태원 참사' 우려 보고서 삭제 의혹 경찰 간부, 소환 앞두고 사망

'이태원 참사' 관련해서 안전사고를 우려하는 정보보고서가 작성됐으나 참사 직후 이를 삭제했다는 의혹을 받던 용산경찰서 간부가 숨진 채 발견됐다. 11일 경찰에 따르면 이날 낮 12시45분쯤 용산경찰서 정보계장 정모(55) 경감이 서울 강북구 자택에서 숨져 있는 것을 가족이 발견했다. 정 경감은 '이태원 참사' 발생 후, 핼러윈을 앞두고 작성됐던 안전 우려 취지 정보보고서를 사무실 PC에서 삭제하고 이 과정에서 정보과 직원들을 회유·종용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특수본은 정 경감과 상관인 김모 전 정보과장을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와

허환주 기자

2022.11.11 16:05:51

대통령 집무실 찾은 스님들…'오체투지' 행렬 이어갔다

이태원 참사 추모 및 진상규명을 촉구하며 '오체투지' 행진에 나선 스님들이 용산 대통령 집무실 앞을 찾았다. 대한불교 조계종 노동사회위원회의 소속 스님들은 11일 오전 서울 용산구 삼각지 파출소 앞에서 오체투지 행진을 시작했다. 지난 9일 서울 종로구 조계사에서 오체투지 행진이 처음 시작된 지 사흘 만이다. 오전 10시께 삼각지 파출소에서 시작, 파출소 앞 인도를 따라 진행된 오체투지 행진은 인근에 자리한 용산 대통령 집무실 앞까지 이어졌다. 이날 오전 10시 45분께 대통령 집무실 앞에 도착한 스님들은 해당 장소에서 이태원

한예섭 기자

2022.11.11 14:29:16

'참사'를 대하는 여권의 태도, 책임 있는 공직이란?

사회 이슈가 '정치 사안'으로 전화(轉化)되느냐의 여부는 정치체계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과 조건, 상황에 따라 결정되며, 정치를 구성하는 행위인자들의 인식과 대처 방식에 달렸다. 정치집단은 기본적으로 모든 사안을 정치공학의 프레임으로 보려는 속성을 가지고 있다. 정치공학과 정치화를 제어하고 문제의 본질에 접근하느냐의 여부는 인사권과 수사권 등 모든 정치자원을 보유하고 있는 여권과 관련 공직자들의 접근 태도에 달렸다. 특히 상황 관리의 열쇠를 쥐고 있는 파워그룹의 행태에 따라 '정쟁화'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관점에 따라 '정치적

최창렬 용인대 특임교수

2022.11.11 14:20:08

이태원 참사, 정부 책임론 과반…'중앙정부' 50%, '지방정부' 9%, '본인·시민의식' 18%

10.29 이태원 핼러윈 압사 참사에 대해 유권자 열 명 중 일곱 명은 정부의 사태 수습·대응이 부적절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참사 책임 소재를 묻는 설문에는 정부·대통령에게 책임이 있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11일 여론조사기관 한국갤럽에 따르면, 이 기관이 지난 8일부터 사흘간 이태원 참사에 대한 정부 수습·대응에 대한 평가를 조사한 결과 '부적절하다'는 응답이 70%, '적절하다'는 응답이 20%로 나타났다. 갤럽은 "대부분의 응답자 특성에서 부적절하다는 시각이 우세했다"며 "국민의힘 지지층과 보수층도 절반가량은 정

곽재훈 기자

2022.11.11 10:50:04

정의당 대구시당 ,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 촉구' 서명운동 돌입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를 촉구하는 움직임이 대구·경북에서도 확산되고 있다. 정의당 대구시당은 10일 오전 동성로 한일극장 앞에서 “이태원 참사의 국정조사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범국민 서명운동과 직접행동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정의당은 기자회견문에서 “‘국민들은 말하고 있다’, ‘살릴 수 있었다’, ‘막을 수 있었다’”라고 지적하고 “참사에 대한 국가애도기간이 끝났지만 여전히 국민들의 슬픔은 이루 말할 수 없이 크고, 참사 전·후에 정부와 지자체, 경찰 등이 보인 모습은 국민을 더 분노케 하고 있다”고 울분을 토했다. 이어

박창호 기자(=대구경북

2022.11.11 10:26:28

  • ◀ 처음
  • 60
  • 61
  • 62
  • 63
  • 64
  • 마지막 ▶
  •  
  •  
  •  
  •  
  •  
  •  
  •  
프레시안
  • 조합소개
  • 기사제보
  • 저작권 정책
  • 이메일 무단수집거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방침
  • RSS

프레시안협동조합 | 사업자번호 101-81-69524 | 대표 전홍기혜
제호: 프레시안 | 신문사업·인터넷신문사업 등록번호 서울아00083 | 창간 2001.9.24 | 등록 2005.10.12 | 발행인·편집인 전홍기혜 | 청소년보호책임자 김봉규
(04043) 서울시 마포구 서교동 395-73 BK빌딩 101호(양화로 10길 49 BK빌딩 101호) | 02-722-8494 | FAX 02-6008-8400

Copyrightⓒ Pressian Coo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