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스북 트위터

최종편집 2025년 08월 14일 19시 09분

  • 제보
  • 문의
  • 회원가입
  • 로그인

프레시안

  • 홈
  • 오피니언
  • 정치
  • 경제
  • 사회
  • 세계
  • 문화
  • Books
  • 전국
  • 스페셜
  • 협동조합
  • 강원
  • 부산/울산
  • 경남
  • 광주/전남
  • 대전/세종/충청
  • 전북
  • 대구/경북
  • 제주
  • 경인
  • 경기북부
  • 협동조합 탐방
  • 함께자리
검색
  • 홈

  • 오피니언

  • 정치

  • 경제

  • 사회

  • 세계

  • 문화

  • Books

  • 전국

    • 강원
    • 부산/울산
    • 경남
    • 광주/전남
    • 대전/세종/충청
    • 전북
    • 대구/경북
    • 제주
    • 경인
    • 경기북부
  • 스페셜

    • 협동조합 탐방
    • 함께자리
  • 협동조합

검색

"참사"검색결과 (전체기사 중 1000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

정렬
  • 최신순
  • 정확도순
기간
~

부산 시민사회 "尹 대통령 공식사과·이태원 참사관련 책임자 경질해야"

시민사회단체가 이태원 참사와 관련해 윤석열 대통령의 공식 사과를 요구하며 주요 책임자에 대한 경질을 촉구했다. 사회대개혁부산운동본부, 부산민중행동은 8일 오후 부산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156명의 귀중한 생명이 이태원 참사로 목숨을 잃었다"며 "윤석열 대통령은 정식으로 대국민 사과를 해야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사건이 발생한지 10일이 지나도록 책임자에 대한 경질과 처벌이 이뤄진게 없다"며 "윤석열 정권은 지금도 꼬리 자르기를 위한 여론전만 벌이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지금까지 윤석열 대통령이 보여준 사과는 면피

홍민지 기자(=부산)

2022.11.08 17:45:50

이동 통로 없어 선로 위 걷는 오봉역 수송원들…"개선 요청했지만 정부는 묵살"

연이은 안전사고에 국민들의 불안감이 커지는 가운데, 한국철도공사(코레일)에서 최근 발생한 오봉역 사망사건의 배경에 안전 인력과 예산 감축이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전국철도노동조합은 8일 서울 용산구 철도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오봉역은 2인 1조로 작업하면 동선이 너무 길어 수송원이 선로를 뛰어다녀야 할 정도로 작업 인력과 비교해 입환량(차량을 연결·분리하는 작업량)이 많다"며 "가장 큰 사고 원인은 노조의 인력 부족과 설비 개선 요청을 정부가 묵살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오봉역은 전체 화물량의 36%를 차지할 정도

박정연 기자

2022.11.08 16:48:07

이재준 수원시장 "10.29 참사 계기 사회안전 패러다임 대전환 해야"

이재준 경기 수원특례시장은 "10.29 참사를 계기로 사회 안전 패러다임을 대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시장은 8일 수원시청 대강당에서 열린 '11월의 만남'에서 "시민 안전에 관한 모든 사항을 처음부터 다시 점검하고, 시민들을 대상으로 지속해서 안전교육을 할 것"이라며 "또 여러 유형의 재난에 대응할 수 있는 훈련을 시민들과 함께 진행하겠다"고 공언했다. 이어 "일어나지 말아야 할 안타까운 참사가 발생해 이루 다 말할 수 없을 만큼 참담함을 느낀다"며 "다시는 이런 참사가 일어나지 않도록 공직자, 공공기관, 유관 기관·

권혁민 기자

2022.11.08 16:05:08

"전북교육청 한 곳만 '참사'와 '희생자' 일관되게 사용"

전국 17개 시도교육청 가운데 ‘이태원 참사’ 와 관련해 전북교육청 한곳만  ‘참사’와 ‘희생자’ 용어를 일관되게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인 강득구 의원(더불어민주당, 안양만안)이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이태원 참사’ 에 대해 대부분 ‘참사’가 아닌 ‘사고’ 용어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사’와 ‘희생자’ 용어를 일관되게 쓰는 곳은 전북교육청 한 곳에 불과했고 혼합해서 쓰는 곳은 서울·충북·경북·제주교육청까지 4곳인 것으로 나타났다.  희생자, 피해자, 사망(

최인 기자(=전주)

2022.11.08 12:28:34

'이태원 참사' 조사하는 특수본, 경찰청 등 55곳 압수수색

경찰청 특별수사본부가 이태원 참사와 관련있는 경찰청과 서울경찰청, 용산경찰서 등 55곳에 대한 압수수색에 나섰다. 경찰청에 따르면 이태원 참사를 수사 중인 특별수사본부는 8일 오전 10시부터 경찰, 용산구청, 소방, 서울교통공사 등에 수사관 84명을 투입해 압수수색을 하고 있다. 이날 압수수색 대상에는 윤희근 경찰청장과 김광호 서울경찰청장 등 경찰 수뇌부 집무실이 포함됐다. 또 서울경찰청 정보·경비부장실과 112상황실장실, 용산경찰서 정보·경비과장실도 압수수색 대상이 됐다. 특수본은 용산구청에도 수사 인력을 보내 용산구청장실과

허환주 기자

2022.11.08 11:15:50

부산시, 대중교통 혼잡도 안전관리 강화 방안 모색

부산의 대중교통 안전관리 점검을 통해 혼잡도 상승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한다. 부산시는 지난 7일 오후 4시에 시민들의 안전한 대중교통 이용을 위한 ‘대중교통 혼잡도 안전관리 대책 회의’를 개최했다고 8일 밝혔다. 이날 회의는 부산시 주재로 최근 이태원 참사 사고 발생과 관련해 시민들의 안전한 대중교통 이용을 위해 마련됐으며, 부산교통공사, 시내‧마을버스운송사업조합 등이 참석해 안전 확보 추진상황 점검 및 안전관리 강화 방안을 함께 모색했다. ‘도시철도’의 경우 정원 120명인 1칸 차량에 180명(승차정원의 150%)이 탑승

박호경 기자(=부산)

2022.11.08 09:53:20

"이태원 참사 희생자 추모는 계속되어야"...민주당 부산 시민분향소 설치

'이태원 참사' 국가애도기간이 종료됐으면 더불어민주당 차원에서 희생자들을 추모하기 위한 시민분향소를 설치하기로 결정했다. 민주당 부산시당은 이태원 참사 희생자들을 추모하기 위한 시민분향소를 설치하고 추모를 이어간다고 7일 밝혔다. 민주당은 정부가 정한 이태원 참사 국민 애도기간이 끝났지만 시민들이 추모의 마음과 분향을 이어갈 수 있도록 시·도당 별로 시민분향소를 설치, 운영하기로 했다. 부산시당은 이에 따라 부산진구 서면 쥬디스태화 앞에 시민분향소를 설치하고 매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8시까지 조문을 실시하기로 했다. 시민

박호경 기자(=부산)

2022.11.07 16:20:33

경기남부청, ‘이태원 참사’ 관련 명예훼손 사건 수사 착수

경찰이 ‘이태원 참사’와 관련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인터넷 게시물에 대한 수사에 착수했다. 경기남부경찰청은 7일 참사 희생자와 관련된 허위사실을 담은 게시물 2건에 대해 희생자들의 명예를 훼손했다고 판단, 수사에 나섰다고 밝혔다. 경찰은 이태원 참사 유튜브 모니터링 과정에서 이 같은 문제의 소지가 있는 국내 인터넷 커뮤니티 사이트 계정 2건을 발견했다. 또 인터넷에 게시된 허위사실과 유포된 희생자 사진 등 55건에 대해 삭제를 요청했으며, 이 가운데 현재까지 30건의 삭제를 완료했다. 경찰은 향후 해당 사이트 등에 대한 압

전승표 기자

2022.11.07 14:44:17

정의당 전북도당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로 진실규명·책임물어야"

정의당 전북도당은 ‘이태원 참사 진상규명 및 책임자 처벌을 위한 국정조사 촉구 정당연설회 및 서명운동’을 8일 오전 11시30분부터 전북대학교 구정문에서 진행한다고 7일 밝혔다. 정의당 전북도당은 “정부가 정한 국가 애도기간이 끝났다고 해서 정부의 책임마저 끝난 것은 아니”라며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성역 없는 국정조사로 참사의 진상을 철저하게 규명하고 책임을 엄중하게 따져 물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국민들의 의지를 모아 국회에서 국정조사 요구안이 발의되고 통과될 때까지 서명운동을 비롯해 정당연설회, 1인 시위 등의 행

김대홍 기자(=전북)

2022.11.07 14:39:41

10.29 참사, 다시 국가를 생각한다

아프고, 슬프고, 분노가 인다. 집단 우울감이 국민을 짓누른다. 국가가 애도 주간을 정해 애도는 하되 진실(?)은 추궁하지 말라고 하는 듯한 그 기간을, 과연 온전한 애도를 하는지도 모를 황망함으로 한 주를 보냈다. 세월호 참사 8년이 지난 올 가을, 다시 믿기지 않는 일이 벌어졌다. 서울 한복판 이태원, 그것도 통행로 골목길에서 순식간에 별이 된 156명의 청년, 학생들…. 가을이 오면 매년 온 국민의 가슴이 먹먹하고 아릴 것이다. 이들을 지켜주지 못하는 국가공동체는 과연 무엇인가? 무엇 때문에? 누구 때문에? 이제 참담한

강경숙 원광대 교수

2022.11.07 11:56:32

  • ◀ 처음
  • 62
  • 63
  • 64
  • 65
  • 66
  • 마지막 ▶
  •  
  •  
  •  
  •  
  •  
  •  
  •  
프레시안
  • 조합소개
  • 기사제보
  • 저작권 정책
  • 이메일 무단수집거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방침
  • RSS

프레시안협동조합 | 사업자번호 101-81-69524 | 대표 전홍기혜
제호: 프레시안 | 신문사업·인터넷신문사업 등록번호 서울아00083 | 창간 2001.9.24 | 등록 2005.10.12 | 발행인·편집인 전홍기혜 | 청소년보호책임자 김봉규
(04043) 서울시 마포구 서교동 395-73 BK빌딩 101호(양화로 10길 49 BK빌딩 101호) | 02-722-8494 | FAX 02-6008-8400

Copyrightⓒ Pressian Coo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