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 05월 11일 05시 47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정욱식"검색결과 (전체기사 중 1000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
박근혜, '신의 방패' 환상은 잊어라
북한의 핵보유가 가시화되면서 이에 대한 대처 방안 가운데 하나로 거론되고 있는 것이 미국 주도의 미사일방어체제(MD) 참여이다. 독자적 핵무장론이나 미국 전술핵 재배치 주장은 아직 한미 당국이 진지하게 고려하지 않은 방안인 반면, MD 참여는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다
정욱식 평화네트워크 대표
2013.03.06 07:34:00
北 도발→南 대응→美 개입…화약고 NLL
국제정치이론에 '안정과 불안정의 역설(Stability-Instability Paradox)'이라는 것이 있다. "핵무기가 핵전쟁을 비롯한 전면전의 가능성은 줄이는 대신에 국지전과 같은 저강도 분쟁의 가능성은 높인다"는 것이다. 이 이론은 일반적으로 적대적인 핵보유국간에 적용
2013.02.27 17:13:00
'코리아 아마겟돈'으로 가나
앨버트 아인슈타인은 일찍이 핵무기의 특성에 대해 이렇게 경고했다. "총알은 사람을 죽이지만, 핵무기는 도시를 파괴한다. 탱크로 총알을 막을 순 있지만, 인류 문명을 파괴하는 핵무기를 막을 수 있는 수단은 존재하지 않는다." 아인슈타인은 2차 세계대전이 초읽기에 들어
2013.02.26 11:02:00
박정희 비밀 핵무기 개발은 왜 무산됐나?
"어떤 나라가 핵무기를 갖고 있는 한, 다른 나라도 갖고 싶어할 수밖에 없다. 정의는 지구촌 모든 사람들에게 가장 심대한 중요성을 갖는 개념이다. 그리고 대부분의 인간은 정의의 본질은 공정성에 있다고 본다. 핵보유국들은 자신의 안보를 위해 핵보유를 정당화하는 반면
2013.02.20 14:52:00
일반적 성공률 4%, 북한에겐 0%
어쩌다 이 지경까지 온 것일까? 이제 어쩔 수 없이 북한의 핵무장을 현실로 받아들이고 대응책을 세워야 할까? 그렇다면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체제, 그리고 평화적 통일은 정녕 이룰 수 없는 꿈이 되고 만 것일까? 대북 제재는 얼마나 효과적이었나? 거꾸로 '협상 무용론
2013.02.18 15:47:00
대북 제재는 수단일 뿐, '대화 무용론' 경계해야
북한이 기어코 핵실험을 강행했다. 12일 오전 풍계리에서 실시된 핵실험은 7킬로톤 안팎의 폭발력을 선보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는 1차 때 1킬로톤, 2차 때 2~6킬로톤에 비해 폭발력이 향상된 것이다. 이와 관련해 북한의 발표 내용은 여러 가지 궁금증을 불러일으킨
2013.02.13 13:51:00
김정은의 '자제'와 박근혜의 '담대함'이 만나야 한다
결국 파국은 피할 수 없는 현실이 되고 마는가? 핵실험을 둘러싸고 국제사회와 북한이 위험천만한 기싸움을 벌이고 있다. 하루가 멀다하고 쏟아지고 있는 북한의 발표와 풍계리 핵실험장의 준비 수준을 볼 때, 3차 핵실험은 초읽기에 들어간 것이 거의 확실시된다. 이에 대해
2013.02.06 07:40:00
北 '중요한 결론', 핵실험 이상일 수도…
북한의 3차 핵실험이 초읽기에 들어갔다는 분석이 쏟아지고 있는 가운데, 북한이 "자주권을 지키기 위한 중요한 결론을 내렸다"고 밝혀 그 내용에 초미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연합뉴스>가 북한의 2월 3일 자 <조선중앙통신>을 인용 보도한 바에 따르면, 김정
2013.02.04 15:08:00
북한이 말한 "높은 수준의 핵시험"은 뭘까?
북한의 3차 핵실험이 초읽기에 들어갔다는 분석이 쏟아지고 있는 가운데, 북한이 공언한 "높은 수준의 핵시험"의 정체에 대해 초미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대다수 전문가들은 고농축 우라늄(HEU)를 이용한 핵실험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 그러나 북한이 보다 현대식 핵실
2013.02.01 07:43:00
한반도 비핵화는 종말을 고했나?
북한의 소형 위성 발사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결의 채택 이후 한반도 정세가 심상치 않게 돌아가고 있다. 북한은 3차 핵실험 준비에 착수한 것으로 보이고 있고, 이에 대해 한-미-일 3국은 안보리 결의에 명시된 "중대한 조치"에 직면할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2013.01.31 08:17: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