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지난 1일 해군 해상초계기에서 조작 실수로 어뢰와 대함 미사일 등 해상무기 6점이 강원도 해상에 떨어진 가운데, 이같은 유사 사고가 끊이지 않았던 것으로 드러나 충격을 주고 있다.
지난해 4월 해군 잠수함 안중근함의 훈련용 수중 어뢰 두 발 중 한 발이 발사되지 않은 사실이 뒤늦게 밝혀졌다.
발사관과 어뢰에 신호를 연결하는 케이블 부분 볼트와 너트가 풀리면서 발사 신호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은 것이 원인으로 알려졌다.
문제가 된 어뢰는 지난 1990년도 초반에 독일에서 들여온 것으로서, 장보고급 잠수함에 수십 발이 장착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해군본부 관계자는 9일 “통신케이블과 발사관 연결 부위가 습기가 차서 전기신호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은 것이 원인일 뿐 특별히 큰 문제는 없었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그는 “들여온 지 오래되다 보니 케이블 연결 부위가 약해져 볼트와 너트 부분이 풀려 있었다”고 덧붙여 무기 관리 체계에 허점이 있었음을 간접적으로 시인했다.
군사 무기 전문가들은 이에 대해 ‘중대 결함’이라고 진단했다. 한 전문가는 “잠수함은 어뢰 한 방으로 적함을 바로 격침시켜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바로 공격을 당하게 된다”며 “때문에 안중근함의 어뢰 발사 실패가 사실이라면 아주 중대한 결함에 속한다”고 말했다.
해군은 문제가 불거지자 볼트 조임 강도와 관련된 규정을 만드는 등 서둘러 대응책 강구에 나섰다. 그러나 이 또한 ‘어느 정도 압력 이상으로 조여라’는 식으로 돼 있는 것으로 알려져 주먹구구식이라는 지적이다.
해군의 무기 관리 체계 허점은 이뿐만이 아니다. 지난해 5월 동해상에 떨어진 함대함 미사일 ‘해성’의 추락 원인도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당시 해군과 공군이 합동훈련을 하면서 해군 초계함이 발사한 사정거리 150㎞짜리 미사일이 10㎞를 날아가다 추락했다.
그러나 해군은 사고가 일어난 지 8개월이 지난 지금까지 원인을 밝혀내지 못하면서도 책임 떠넘기기에 급급하고 있다.
해군 관계자는 “유도탄 미사일 ‘해성’의 추락 원인은 해군의 운영상의 문제가 아니라 제품 자체의 문제라고 봐야 한다”며 “개발업체와 제작업체까지 함께 참여하고 협의해 국방기술품질원에서 원인을 분석 중”이라고 해명했다.
신년벽두부터 50억 원에 달하는 국민 세금을 바다에 빠뜨려 위상이 실추된 해군. 핵심 전력 무기 사고가 끊이지 않았던 것으로 또다시 드러나면서 해상 국방을 믿고 맡길 수 있을지 국민들은 불안에 떨고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