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 태백과 삼척지역 탄광업계가 ‘고사위기’에 빠졌다.
20일 탄광업계에 따르면 지난 6월부터 강릉 영동화력과 충남 서천화력 등 노후 석탄화력 발전소에 대한 가동을 중단하면서 경동탄광 상덕광업소와 태백탄광 등 민영탄광들은 무연탄 판매가 사실상 중단 상태다.
대한석탄협회에 의하면 영동화력과 서천화력에서 연간 23만5000톤의 국내산 무연탄을 소비했지만 문재인 정부의 ‘탈석탄’ 정책이 추진되면서 노후화력 발전소로 지목된 이들 발전소는 가동이 중단됐다.

이 때문에 발전용 무연탄을 안정적으로 판매해온 경동과 태백탄광은 졸지에 날벼락을 맞은 셈이다.
특히 경동탄광은 무연탄 판매중단으로 회사가 개광이래 최악의 위기상황에 처하자 이달부터 비상경영체제를 가동하고 나섰다.
탄광 부소장을 중심으로 전국 주요 연탄공장을 대상으로 무연탄 판촉을 강화하고 있지만 여름철 비수기 인 탓에 무연탄을 먼저 주고 겨울에 돈을 받는 ‘후불판매’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따라 삼척시는 김양호 삼척시장이 긴급대책회의를 갖고 ㈜한국남부발전에 경동탄광 재고탄을 납품받을 수 있도록 요청했지만 비용 추가 부담을 핑계로 난색을 표하는 상황이다.
또 지역출신 이철규 국회의원도 정부에 경동탄광의 경영난을 덜어 주고 폐광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산업통상자원부에 정부비축을 요구하고 있지만 예산부처의 반대로 난관에 봉착했다.
석탄협회 관계자는 “현재 전국적으로 판매되지 않고 산탄지에 쌓여 있는 재고탄이 86만 톤에 달하는데 금액으로 1300억 원 규모”라며 “가뜩이나 민수용 비수기에 발전용 판매가 막히면서 탄광업계는 여름 비수기를 어떻게 보낼 수 있을지 난감하다”고 토로했다.
또 “영동화력발전소는 수십억 원을 투자해 청정시스템을 구축했지만 노후 발전소로 분류되는 바람에 폐쇄우려가 높다”며 “오는 8월 정부가 어떤 결정을 내리느냐에 따라 탄광업계의 존폐문제가 결정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산업부 관계자는 “정부비축을 위해 예산부처와 1차 협의를 했지만 향후에도 난항이 예상된다”며 “무연탄 소비 감소에 무연탄발전소 가동 중단까지 겹치는 등 수요가 계속 줄어들고 있어 대책강구가 쉽지 않은 실정”이라고 밝혔다.

권정복 삼척시의원은 “경동탄광의 무연탄 판매가 사실상 중단되면서 860여 명 종업원들의 생존권이 위협받고 있다”며 “가뜩이나 어려운 탄광업계에 30년 이상 노후 석탄화력발전소 가동중단으로 탄광촌은 최악의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또 그는 “정부에서 무연탄 비축 등 특단의 지원대책이 없으면 폐광이 불가피한 실정”이라며 “새정부가 일자리 창출을 최우선하면서 석탄정책을 발로 차버리면 수천명의 광부와 가족들이 생계터전을 잃게 된다”고 강조했다.
한편 대한석탄공사 장성광업소도 민수용 판매부족으로 철암저탄장에 40만 톤이 넘는 재고탄이 쌓여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