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탈 석탄정책’으로 인한 파편이 강원 폐광지역에 직격탄을 날렸다.
10일 대한석탄협회에 따르면 문재인 정부 출범이후 정부가 미세먼지 저감대책의 일환으로 노후 화력발전소 폐지방침과 이로 인한 가동중단으로 연간 23만 5000톤의 무연탄 판매 중단위기에 놓였다.
현재 국내산 무연탄을 연료로 쓰는 화력발전소는 동해화력과 강릉 영동화력, 충남 서천 화력 등 3곳이다. 삼척시 도계읍 경동탄광과 태백시 삼수동 태백탄광에서 전량 납품해 왔다.

사정이 다급해지자 도계번영회는 10일 호소문을 발표하고 폐광위기에 놓인 탄광업계의 유일한 대안인 정부의 무연탄 비축을 요청했다.
도계번영회는 호소문을 통해 “삼척시 도계읍은 탄광경기가 호황일 당시 5만에 달하던 인구가 정부의 폐광정책 때문에 1만으로 쪼그라 들었다”며 “국내 석탄생산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도계지역은 석탄산업 비중이 절대적”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갑작스런 정부의 탈 석탄정책과 노후 화력발전소의 가동중단으로 도계지역 탄광은 판로가 막힌 무연탄 재고로 폐광위기”라며 “도계지역 탄광노동자들의 생존권이 위협받고 지역경제는 파탄위기에 처했다”고 강조했다.
특히 “정부에서 무연탄 비축 등 특단의 지원이 없으면 도계지역 탄광은 폐광이 불가피하다”며 “정부가 석탄산업을 외면하면 수천명의 광부와 가족들은 생계터전을 잃고 국내유일의 에너지 지원인 석탄산업도 붕괴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태백시번영회도 도계번영회와 연계해 정부의 무연탄 비축 지원책이 강구되지 못하면 태백지역 최대 고용규모를 가진 대한석탄공사 장성광업소도 폐광이 불가피하다며 연대투쟁을 준비하고 있다.
현재 석탄광은 국내 최대 규모의 도계 경동탄광을 비롯해 대한석탄공사 도계광업소, 장성광업소 화순광업소, 태백탄광 등 5곳에 2500여 명의 광원들이 근무하고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