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 각지의 귀농귀촌 관계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귀농귀촌 정책의 방향성과 과제를 진단하고 새로운 대안을 제시했다.
26일 Y-FARM '귀농귀촌 지역살리기 박람회' 이틀째 행사로 열린 '전국 광역 시도 귀농귀촌 대표자 회의'에는 전국귀농귀촌중앙회 정용준 회장을 비롯해 김경진 교육국장, 충청·경상·전라권 대표자, 지자체 실무자를 포함한 6명이 참석했다. 회의는 귀농귀촌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대안을 논의하고, 지역 현장의 목소리를 중앙에 전달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회의에선 다양한 현안과 정책 과제가 쏟아졌다. 특히, 최근 종료된 ‘귀농귀촌 도시민 유치지원사업’과 ‘귀농귀촌 활성화사업’을 대체할 신규 사업의 필요성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귀농귀촌 수요가 계속 증가하는 상황에서, 기존 지원책만으로는 정착을 뒷받침하기에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정착지원 대상을 중장년층으로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도 주목을 받았다. 현재 청년층에게만 적용되는 초기 정착지원금을 50대 이상 중장년층으로 넓혀야 한다는 제안이다. 소득이 불안정한 초기 정착기에는 세대와 상관없이 최소한의 생활안정 장치가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지자체의 적극적인 역할을 주문하는 목소리도 있었다. 귀농인 확인서 발급을 통해 지역농협 조합원 가입 요건을 완화하자는 제안이 대표적이다. 조합원 가입은 귀농인의 농업 기반 마련에 중요한 절차인 만큼, 행정적 지원을 통해 문턱을 낮춰야 한다는 취지다.
회의를 주재한 정용준 회장은 “오늘 나온 현장의 목소리가 귀농귀촌 정책에 새로운 물꼬를 트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중앙부처와 지속적으로 협의해 실질적인 정책 반영을 이끌어내겠다”고 밝혔다.
한편 ‘귀농귀촌 지역살리기 박람회’는 오는 27일까지 3일간 이어진다. 귀농귀촌 희망자들을 위한 체험 프로그램과 상담 부스, 정보 제공 등이 마련돼 실질적인 농촌 정착을 돕는 데 주력하고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