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는 지금 발전과 퇴보의 갈림길에 서 있다.
2036하계올림픽 유치와 독자적인 광역권 설정의 길로 들어서면 발전의 큰길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이 같은 천재일우의 기회를 살리려면 자체적인 경쟁력을 갖춰야 한다.
자체적으로 경쟁력을 갖추려면 전북의 중심도시로서 전주시를 광역시급으로 격상시켜야 한다. 광역시급으로의 격상은 전주와 완주 통합을 넘어서 익산까지 아우르는 대통합이 전제돼야 한다는 제안이 나오고 있다.
전주와 완주 통합도 어려운데 익산까지 통합이 가능할 것인지 의구심을 제기하는 측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전북 발전의 기회를 살리려면 전북 도민이 절박하게 이 문제를 해결하는 수밖에 없다.
전주·익산·완주가 통합할 경우 인구와 면적을 4월 기준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대략 전주 63만여 명, 익산 27만여 명, 완주 10만여 명으로 100만 명에서 700명이 모자란다.
3월 기준으로는 100만 명에서 700명이 넘었다. 전주 인구가 한 달 사이 800명이 줄어든 것이 원인이다. 이 정도 인구는 창원통합시 인구보다 조금 많은 것이다.
면적을 살펴 보면 전주 206㎢, 익산 506.6㎢, 완주 821.4㎢로 전체 면적은 1,534㎢에 이른다. 서울시 605㎢와 비교하면 2.53배에 이르며 프랑스 파리시 105㎢보다 14.6배 더 큰 것이다.
전주·익산·완주가 통합하게 되면 행정비용을 줄이며 줄인 비용만큼 통합시 발전과 시민복지 증진을 위해 투자할 수 있을 것이다.
통합시는 광역시급으로서 가칭 새만금통합시와 함께 독자적인 전북 광역권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4월 22일 공포된 '대도시권 광역교통 관리에 관한 특별법' 개정법률에 따라 전주·익산·완주 통합시를 연결하는 광역교통망 구축에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2036하계올림픽을 유치하는 데 큰 명분을 내세울 수 있을 것이다. 즉 올림픽을 유치하기 위해 전주·익산·완주 주민이 대동단결해 광역시급으로 통합한 점을 강조할 수 있게 된다. IOC위원들에게 전주에 올림픽 유치를 지원해달라고 호소할 근거를 갖게 된다.
그러나 전북의 내부사정을 살펴보면 이 같은 제안이 녹록지 않다는 것에 동의할 것이다.
우선 전주와 완주 통합 논의가 크게 진전되지 못하고 있다. 그 원인을 살펴보면 완주군민이 통합에 대해서는 긍정적이지만 시기에 대해서는 유보적인 태도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이 같은 상황은 완주지역 정치거버넌스들이 소위 기득권 지키기에 주력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북 전주가 2036하계올림픽 개최 국내 후보도시로 결정되면서 통합 논의의 장이 크게 바뀌게 됐다.
올림픽 유치를 위해 소아(小我)를 희생하고 대의(大義)를 실현하자는 여론이 형성되고 있는 중이다. 완주가 통합시 구성원으로서 2036하계올림픽을 개최하는 도시로 거듭날 기회를 갖게 되는 것이 군민의 마음 속을 파고들고 있다.

다음으로 익산과의 통합을 논의하는 것도 쉽지는 않을 것이다. 익산시는 장기적 관점에서 보면 인구가 감소하고 지역소멸의 위험에 부딪치고 있다. 이를 해소하려면 역시 전주와 통합해 전북의 중심도시로서 역할을 해야 한다.
국가식품클러스터를 바이오메디컬시티로 질적인 전환을 이루고 공공기관 이전 시 전북혁신도시와 기능상 공조를 추구할 수 있을 것이다.
익산시는 내륙철도교통의 중심지로서 통합시의 물류거점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통합시의 이 같은 비전에 공감을 이룬다면 일정이 촉박한 점 등을 고려해 주민투표 대신 시의회 의결 절차로 통합을 추진할 수 있을 것이다.
전주·완주 통합운동을 추진하는 관계자는 전주·익산·완주 통합으로 2036하계올림픽을 유치하는 명분을 강화하고, 전북의 독자적인 광역권 설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대통령 선거 후 이 문제가 본격적으로 거론될 수 있다고 내다보고 있다.
연말까지 전주·익산·완주 통합절차를 원만하게 진행하면 내년 7월 1일 광역시급의 통합시가 탄생할 것으로 보인다.
통합을 이루려면 국회의원과 기초자치단체장 등 정치거버넌스들의 지위를 보장하는 방안도 추진하는 게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전북특별법'에 5개 자치구를 설치하는 등 제도적으로 이를 보장하는 방안도 검토해야 할 것 같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