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16일 전북 전주에서 열린 유세에서 “태양광과 풍력 자원은 전국적으로 유사하지만, 땅값과 인구밀도 측면에서 전북 서남해안 지역이 재생에너지 사업 추진에 최적지”라고 평가했다.
이 후보는 “일조량은 전국적으로 큰 차이가 없고, 풍력도 해안가나 고지대 등에서 강한 바람이 불기 때문에 전국적으로 설치가 가능하지만, 땅값과 인구밀도가 높은 지역은 발전시설 구축에 제약이 따른다”며 “전북 서남해안은 넓은 부지와 저렴한 토지 비용 덕분에 대규모 재생에너지 단지 조성에 유리하다”고 설명했다.
특히 그는 “전남 신안군 주민들은 ‘햇빛연금’과 ‘바람연금’을 통해 매달 150만~250만 원의 소득을 얻고 있다”며 “이러한 성공 사례를 전북에도 도입해 발전소 지분의 30%를 주민에게 배분하고, 안정적인 수익을 보장하는 주민참여형 재생에너지 모델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이 후보는 재생에너지 확대의 걸림돌로 지적되는 전력 판매 문제도 언급했다. 그는 “재생에너지는 생산 이후 전력망 연결이 미흡하거나, 특정 지역에 편중돼 있어 생산된 전기를 제때 판매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며 “정부 차원의 전국적 송·배전망 인프라 구축이 필수”라고 강조했다. 이어 “정부가 전력망을 촘촘히 깔아 어디서든 전기를 생산하고 전원코드만 꽂으면 바로 팔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그는 “지역의 특성에 맞는 기업들이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는 여건도 조성해야 한다”며 “전남·전북·충청 등 서남해안은 재생에너지의 보고인 만큼, 이 지역에 재생에너지 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재생에너지 산업과 관련해선 “전북·전남·충남·경남 등 서남해안 지역은 바람과 햇볕, 입지 조건 모두 뛰어난 재생에너지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며 “풍력·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를 전략적으로 육성하고, 이를 뒷받침할 송·배전 인프라도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후보는 “이 같은 인프라와 주민참여형 모델이 결합되면, 전력 생산지가 서울 등 대도시가 아니어도 지역 단위에서 재생에너지 사업이 활성화될 수 있다”며 “지역 경제 활성화와 주민 소득 증대가 동시에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