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미국 신용 등급 강등된 것도 바이든 탓? 미 재무장관 "바이든 정부 지출" 지적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미국 신용 등급 강등된 것도 바이든 탓? 미 재무장관 "바이든 정부 지출" 지적

베센트 "영국, 중국에 이어 다른 국가들도 미국과 관세 협상위해 접촉"

세계 3대 신용평가사 중 한 곳인 무디스가 미국의 신용등급을 최고등급에서 한 단계 낮춘 데 대해 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은 트럼프 정부가 아닌 바이든 정부 때문에 벌어진 일이라고 주장했다.

18일(이하 현지시간) 미 NBC 방송과 인터뷰를 가진 베센트 장관은 무디스가 미국의 장기신용등급을 'Aaa'에서 'Aa1'으로 강등시킨데 대해 "무디스는 후행 지표(lagging indicator, 성과를 측정하는 지표)라고 생각한다"며 전임인 조 바이든 정부의 재정 정책과 관련이 있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베센트 장관은 바이든 정부에서 벌였던 기후 변화에 따른 대응 및 의료 보장 확대 등으로 인해 미 정부의 부채가 늘어났다면서 "지난 4년 동안 우리가 목격한 것은 바이든 행정부와 재정 지출"이라고 말했다.

무디스는 16일 미국의 신용등급을 낮춘 배경으로 미국 정부가 가지고 있는 재정 적자와 부채가 미국이 가지고 있는 경제 및 금융에서의 강점을 상쇄시키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베센트 장관은 바이든 정부의 재정 확대 정책이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했지만 방송은 "재무부에 따르면 미국의 국가 부채는 36조 2200억 달러에 달한다. 이 부채는 1980년대부터 꾸준히 증가하기 시작했으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첫 임기와 조 바이든 대통령 행정부 시절에도 계속 증가했다"고 밝혀 바이든 정부 때문에 부채가 늘어난 것만은 아니라고 짚었다.

이번 무디스의 신용등급 강등으로 미국은 세계 3대 신용평가사 모두로부터 최고 등급에서 벗어나는 상황에 직면했다. 앞서 2011년 S&P, 2023년 피치(Fitch)는 각각 미국의 신용등급을 AAA에서 한 단계 강등시킨 바 있다.

▲ 18일(현지시간) 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이 미국 방송 NBC의 <미트더프레스>(Meet The press)에 출연했다. ⓒNBC 방송 갈무리

한편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인상으로 인해 세계 경제뿐만 아니라 미국 경제도 적잖은 타격을 받으며 미국 정부가 주요 국가들과 관세 협상에 속도를 내고 있는 가운데, 베센트 장관은 더그 맥밀런 월마트 CEO와 전화 통화를 했다고 말했다.

관세로 인해 생필품 가격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베센트 장관이 맥밀런 CEO에게 가격 상승을 소비자에게 전가하지 말고 월마트가 부담하라는 압력을 넣은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는 가운데, 베센트 장관은 "관세를 감수하라"고 압력을 가한 적이 없다며 본인과 "매우 좋은 관계"라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언론으로부터 나오는 (맥밀런 CEO의) 간접적인 증언보다는 직접 듣고 싶었을 뿐"이라며 관세와 관련한 이야기를 했다는 점을 부인하지 않았다.

방송은 지난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인 '트루스소셜'의 본인 계정에 월마트가 관세를 감수해야 한다고 요구했고, 월마트가 이에 대해 "항상 가격을 최대한 낮게 유지하기 위해 노력해 왔으며, 앞으로도 이를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답했다고 전했다.

베센트 장관은 영국과 중국에 이어 다른 국가들도 관세 협상을 위해 미 정부와 접촉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미국과 성실하게 협상하지 않는 국가들은 지난 4월 2일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발표했던 관세율에 따라 관세가 부과될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협상을 촉구했다.

하지만 중국과 관세 협상을 지켜본 다른 국가들이 트럼프 정부와 관세 협상을 서두르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미국이 중국과 협상에서 부과된 관세 대부분을 유예하면서 사실상 별다른 이득을 얻지 못한 가운데, 다른 국가들도 상대적으로 조급한 상황에 놓인 미국과 협상을 서두를 이유가 없다는 것을 미중 간 협상에서 알게 됐다는 분석이다.

18일 <블룸버그> 통신은 양국 협상을 지켜본 다른 국가들이 미국에 더 강경한 입장을 취해야 국익을 취할 수 있다는 확신을 갖게 됐다고 분석했다. 싱가포르 ISEAS-유소프 이샥 연구소의 스티븐 올슨 서 객원 선임 연구원은 통신에 미중 관세 협상이 "협상의 역학 관계를 바꿨다"고 평가했다.

그는 "양국 협상 결과를 본 많은 다른 국가들은 트럼프가 본인이 지나쳤음을 알기 시작했다고 판단할 것"이라며 주요 국가들이 미중 간 협상 결과를 통해 트럼프가 스스로 발표한 관세에 대해 후회하고 있을 것이라는 점을 인지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미 일간지 <월스트리트저널>은 이날 한국, 일본, 유럽연합(EU) 등 미국과 관세 협상이 아직 이뤄지지 않은 국가들과 관련, 자동차 관세 문제로 인해 협상이 교착 상태에 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앞서 지난 16일 산업통상자원부는 안덕근 장관이 제주에서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통상장관회의 참석차 방한한 미국 무역대표부(USTR) 제이미슨 그리어 대표와 제주에서 관세 관련 협의를 개최했다면서 19일 이후 제2차 기술협의를 통해 '균형무역, 비관세조치, 경제안보, 디지털교역, 원산지, 상업적 고려'등 6개 분야에 대해 본격 협의를 가져가기로 합의했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 신문은 당시 협의에서 한국 정부가 미국에 자동차 관세 예외를 요구했다고 보도했다. 또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지난 15일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을 방문해 미국 관세 조치에 따른 현장 간담회 자리에서 피해 최소화를 위한 지원을 약속했다는 사실을 전하기도 했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이재호

외교부·통일부를 출입하면서 주로 남북관계를 취재하고 있습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