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유럽연합(EU)에 5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위협했다가 이를 7월 9일까지 유예하겠다고 밝혔다. EU를 협상 테이블에 앉히기 위한 전략으로 보인다. 실제 트럼프 대통령이 원하는 성과를 거둘 수 있을지 미지수다.
25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인 '트루스소셜'의 본인 계정에서 "오늘 우르줄라 폰 데어 라이엔 유럽연합 집행위원장으로부터 무역 및 유럽연합 관련 50% 관세 부과 시한인 6월 1일을 연장해 달라는 전화를 받았다"며 "7월 9일로 연장에 동의했다. 집행위원장은 협상이 신속하게 시작될 것이라고 말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AFP> 통신은 트럼프 대통령이 철강 및 알루미늄과 자동차에 각각 25%의 관세를 부과하고, 유럽 제품에 20% 관세를 부과하고 있는데, 이 세 가지 관세는 7월 9일까지 유예되지만 모든 수입품에 부과하고 있는 10%의 관세는 유지된다고 보도했다.
폰 데어 라이엔 집행위원장은 이날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인 'X'의 본인 계정에서 "미국 대통령과 좋은 통화를 가졌다. EU와 미국은 세계에서 가장 중요하고 긴밀한 무역 관계를 공유하고 있다"며 "유럽은 협상을 신속하게 진전시킬 준비가 되어 있다. 합의에 도달하려면 7월 9일까지 시간이 필요하다"고 말해 관세 유예 조치 배경을 설명했다.
통신은 지난 23일 트럼프 대통령이 기존 관세 부과와 관련해 EU와 협상이 "아무런 성과 없이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며, 6월 1일부터 5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위협했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 미 일간지 <월스트리트저널>은 "트럼프 대통령은 23일 아침 갑자기 EU에 5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위협했다"며 "이는 '상호' 관세 부과를 피하기 위한 협상에서 트럼프 행정부와 진전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던 유럽 관리들을 놀라게 했다"고 보도했다.
23일 트럼프 대통령은 '트루스소셜'의 본인 계정에서 EU와 협상이 "아무런 성과가 없다"며 "EU의 강력한 무역 장벽, 부가가치세, 터무니없는 기업 처벌, 비금전적 무역 장벽, 통화 조작, 미국 기업에 대한 불공정하고 정당하지 않은 소송 등으로 인해 미국의 무역 적자가 연간 2억 5000만 달러가 넘는다. 이는 절대 용납할 수 없는 수치"라고 말해 관세 부과가 무역 적자를 완화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는 점을 시사했다.
신문은 "트럼프 대통령은 오랫동안 EU가 미국을 이용하기 위해 설립되었다고 비난해 왔으며, 미국의 지속적인 대유럽 무역 적자를 비난해 왔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50% 관세 부과 선언은 결국 EU가 미국과 관세 협상에 적극적으로 응하지 않기 때문에 나온 위협 수단인 것으로 보인다. 이에 23일 미국 측 대표단과 협상을 가진 마로시 셰프초비치 EU 통상대표는 "합의를 성사시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지만" 무역 관계는 "위협이 아닌 상호 존중"에 기반해야 한다고 반발하기도 했다.
라르스 클링바일 독일 재무장관은 독일 매체 <빌트>와 인터뷰에서 25일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과 이 문제에 대해 논의했다면서 "더 이상 도발이 아닌, 진지한 협상이 필요하다. 미국이 (유럽에 부과하는) 관세는 독일과 유럽 경제만큼이나 미국 경제를 위협한다"라고 경고하기도 했다.
<AFP> 통신은 "유럽연합은 협상이 타결되지 않을 경우 약 1000억 유로(약 1130억 미국 달러) 규모의 미국산 제품에 관세를 부과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미국의 지난해 대 EU 무역적자는 2360억 달러였다"고 설명했다.
미국 정치전문 매체 <더힐>은 "백악관은 4월 초 발표했던 관세와 관련해 몇 안 되는 국가들과 무역 협정을 체결했다. 지금까지 발표된 유일한 무역 협정은 영국과의 협정"이라며 관세를 고리로 한 무역적자 해소를 위한 미국의 협상이 원만하게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보도했다.
매체는 "트럼프 대통령은 당초 미국 주식 시장을 폭락시키고 경기 침체 우려를 불러일으켰던 여러 관세 부과를 중단했다. 무역 전쟁에서 한 발 물러났던 그의 조치에는 중국 수입품에 부과되던 관세를 대폭 낮추는 것이 포함됐다"며 "시장은 이러한 움직임에 대한 반응으로 반등한 것으로 보이지만, 지난주 트럼프의 새로운 관세와 미국 부채 증가에 대한 우려로 하락세로 마감했다"고 전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가 미국 경제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