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가 도시기반시설의 위치를 정밀하게 담는 전자지도 구축사업에 다시 한번 선정됐다.
울산시는 28일 국토교통부가 주관한 '2026년 국비연계 고정밀 전자지도 구축 공모사업'에 3년 연속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국비 27억 원을 확보하게 됐으며 시는 오는 2026년까지 총 129억 원을 투입해 '디지털 복제울산' 사업을 추진한다.

이번 사업은 기존 1:5천 지형도로는 담기 어려웠던 맨홀과 가로등, 전신주, 신호등, 횡단보도 등 세부 도시 기반시설까지 반영하는 고정밀 수치지형도(1:1천)를 중심으로 한다. 이를 통해 도시계획, 지하시설물 관리 및 긴급대응 등 실무행정의 정확도 향상이 기대되며 자율주행·UAM(도심항공교통) 경로 설정, 도시침수 예측 등 다양한 첨단기술과도 접목이 가능하다.
울산시는 반구천과 태화강 일원, 개발제한구역 등을 대상으로 드론·항공 촬영, 라이다(LiDAR), 모바일맵핑시스템(MMS), 초분광 영상 등 첨단기술을 총동원해 정밀 공간정보 구축을 예고했다. 생태하천 지형도, 탄소공간지도, 3D 수목모형 등도 포함된다.
허나 사업의 규모에 비해 실제 행정에 얼마나 신속하게 반영될 수 있는지 또 민간기업이나 시민에게 실질적인 정보 접근성과 활용 편의성이 보장될지는 여전히 불투명하다. 고정밀 공간정보가 특정 기업 중심의 기술 독점으로 이어지거나 행정 효율화 대신 전시행정으로 흐르지 않도록 사후활용 구조에 대한 세심한 설계가 필요한 시점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정밀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도시문제를 과학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체계를 만들겠다"고 밝혔지만 정작 시민의 삶 속에 체감되는 변화는 향후 어떻게 구현될지는 실제 현실 문제와 맞닿아야 한다는 점에서 더욱 정밀한 실행방향이 필요하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