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원이 최근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이 대남·대미 담화를 연속적으로 발표한 배경에 대해 "(북한에) 유리한 전략적 환경이 조성됐다는 자신감을 가지고 있는 측면에서 담화가 나왔다"고 분석한 것으로 전해졌다.
국정원은 30일 오후 국회 정보위원회 비공개 간담회에서 이 같은 분석을 보고했다고 국정원 야당 간사 국민의힘 이성권 의원이 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전했다.
이 의원은 "(북한이) 유리한 전략적 환경을 가지고 있다, 그런 측면에서 자신감을 가지고 대남·대미 담화를 연이서어 내놨다고 해석을 (국정원이) 해준 것"이라고 이날 국정원 보고 내용을 설명했다.
국정원은 북한의 '자신감'의 배경으로 △핵 능력 강화 △러시아 파병 등을 꼽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 의원은 "북한 스스로 핵 능력이 강화됐고 또 러시아라는 뒷배, (북한이) 러시아에 파병해주고 이런 것 때문에 지금까지보다 훨씬 유리한 전략적 환경이 조성됐다(고 판단한 걸로 보인다)"라고 설명했다.
다만 이 의원은 김 부부장의 이번 담화로 '대화 가능성이 열렸다'는 일각의 평가에 대해서는 "그것하고는 전혀 무관하다"며 "(북한은) '핵 보유를 인정할 경우에만 대화가 가능하다'는 그 기존 입장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김 부부장은 앞서 지난 28일 관영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이재명 정부를 향한 첫 메시지를 발표했고, 이튿날인 29일엔 미국을 향한 담화를 이어서 발표했다.
김 부부장은 우리 정부를 향해선 '대북 확성기 중단' 등 정부의 대북 조치를 두고 "나름대로 성의 있는 노력"이라고 표현하면서도 북한과 한국은 '적대적 두 국가 관계'라는 기존의 입장을 그대로 고수했다.
김 부부장은 반면 미국 정부를 향한 담화문에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간의 '개인적 친분'을 언급해 '북미 정상회담을 시사한 것'이라는 평이 나왔다. 다만 김 부부장은 미국이 북한의 '핵보유국 지위'를 인정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북미협상은 '비핵화'가 아닌 '핵 군축·동결'에서 시작 될 것이라는 입장을 내놨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