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국토계획법 개정에 따라 새롭게 도입되는 '공간혁신구역(3종)' 제도에 발맞춰 새로운 도시 성장거점을 발굴하기 위한 작업에 착수했다.
31일 부산시는 공간혁신구역 지정을 위한 신규 후보지를 찾기 위해 이날부터 8월 25일까지 수요조사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기존 선도사업 대상지 외에 다양한 후보지를 추가 발굴하고 도시공간계획 혁신에 시민과 기업이 직접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공간혁신구역은 2024년 8월부터 시행되는 국토계획법 개정에 따라 도입된 도시계획 특례제도로 용도와 밀도 등 기존의 경직된 도시계획 틀에서 벗어나 창의적이고 복합적인 개발을 가능하게 하는 제도다. 도시혁신구역, 복합용도구역, 도시계획시설 입체복합구역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 부산시는 영도구 공업지역과 금정구 금사산업단지를 각각 '공업지역 활성화 사업'과 '산업혁신플랫폼 사업'으로 공간혁신구역 지정 추진 중이며 이들 두 곳은 국토부의 공간혁신구역 선도사업으로 선정된 바 있다.
이번 수요조사는 이외 지역에서도 도시 재편 가능성이 있는 후보지를 적극적으로 찾기 위한 조치다. 특히 노후 공업지대나 유휴 도시계획시설, 쇠퇴한 구도심을 업무·주거·문화 기능이 어우러진 복합용도로 전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부산시는 선정된 후보지에 대해 사전 컨설팅과 행정지원을 제공하고 나머지 제안은 도시혁신 공간계획 수립 용역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이번 수요조사는 도시계획에 민간과 지역사회가 참여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라며 "도심 내 다양한 기능을 융복합한 공간혁신구역을 통해 부산의 미래성장거점을 체계적으로 조성하겠다"고 전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