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대학교병원이 지난 6월 문을 닫았던 입원형 호스피스 병동을 오는 8월 28일부터 다시 운영한다. 이를 두고 병원 측은 "지역 내 호스피스 수요와 상급종합병원으로서의 책임을 고려한 결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발표는 지난 7월 본지가 보도했던 병동 폐쇄 사태 이후 한 달여 만에 나온 공식 입장이다. 당시 병원은 전담인력 부족을 이유로 병동 운영을 중단했지만 폐쇄 과정에서 내부 협의와 외부 고지가 거의 없었고 지역사회는 그 충격을 고스란히 떠안아야 했다.

호스피스 병동의 중단은 말기암 환자와 가족들에게 큰 혼란을 줬다. 일부 환자는 타 지역 병원으로 전원돼야 했고 자원봉사자들과 지역 돌봄네트워크는 사실상 무력화됐다. 그로부터 두 달이 지나 여론과 언론의 비판이 이어지자 병원은 뒤늦게 운영 재개를 결정한 것이다.
병원은 이번에 10병상 규모의 병동과 임종실을 갖추고 새 센터장과 전담인력을 배치해 서비스를 재개하겠다고 밝혔다. 권역별 호스피스센터 운영도 유지된다. 하지만 이 같은 조치는 "처음부터 가능했던 일인데 왜 이제야 하느냐"는 비판에서 자유롭지 않다.
울산대병원은 2013년부터 권역호스피스센터를 운영해온 기관이다. 이번 사태는 단순한 운영상의 문제를 넘어 공공의료가 왜 항상 수익성과 구조 논리에 밀려 후순위로 밀리는지를 보여준다. 생애 마지막을 함께하는 돌봄이 병원 수지계산 뒤로 밀려나는 현실은 누구도 책임지지 않지만 결국 환자와 가족이 그 대가를 감당해야 한다.
이번 재가동이 진정한 개선의 출발점이 되려면 다시는 '중단됐다가 돌아오는' 방식이 반복되어선 안 된다. 필수의료에 대한 명확한 기준과 책임체계가 마련돼야 할 때로 보여진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