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가 사측 임금안을 거부하고 나서며 현대자동차 노사 갈등이 다시 격화되고 있다.
28일 현대차에 따르면 울산공장에서 열린 2025년 임금·단체협약(임단협) 제19차 교섭에서 사측은 월 기본급 8만7000원 인상, 성과급·격려금 350%+1000만원, 주식 10주 지급을 제시했다.
올해 첫 임금안이었지만 노조는 "조합원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며 거부했다.

노조는 사측의 양보가 부족하다고 판단해 추가안을 요구하는 동시에 9월부터 연장근로와 토요특근을 전면 중단하겠다고 밝혔다. 이미 쟁의권을 확보한 만큼 파업 여부도 검토 중이다.
노조는 기본급 14만1300원 인상(호봉승급분 제외), 전년도 순이익의 30% 성과급 지급, 정년 64세 연장, 주 4.5일제 도입, 상여금 인상 등을 요구하고 있다. 반면 회사 측은 글로벌 경기 둔화와 대미 수출 관세 부담 등을 이유로 전면 수용은 어렵다는 입장이다.
문제는 울산 경제에 미칠 파급력이다. 현대차 울산공장은 국내 완성차 생산의 핵심 거점으로 하루 수천 대의 차량을 생산한다. 노조가 특근을 중단하면 생산 차질은 물론 1·2차 협력업체의 납품 일정에도 연쇄적인 타격이 불가피하다.
또한 울산 제조업 고용의 상당 부분이 현대차와 그 협력망에 연결돼 있어 단기간에도 수백억 원대 지역경제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이와 관련해 울산지역 업계 관계자는 "현대차 파업은 단순히 회사 문제를 넘어 지역경제 전반에 충격을 줄 수 있어 자동차 협력업체, 서비스업, 물류업까지 동시 타격이 예상된다"고 지적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