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과 울산에서 홈플러스 점포가 잇달아 폐점하면서 지역 상권이 직격탄을 맞고 있는 가운데 금융당국이 대주주 MBK파트너스에 대한 제재 절차에 돌입했다. 불투명한 인수, 운영 구조에 대한 책임론이 거세지면서 지역사회의 불신은 더욱 확산되고 있다.
지난 31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최근 MBK파트너스에 검사 의견서를 발송하며 공식 제재 절차에 착수했다. 이번 조치는 지난 3~4월 실시된 현장 검사 결과를 토대로 마련된 것으로 MBK의 불건전 영업행위와 내부통제 소홀 여부가 핵심 쟁점이다.
검찰은 이미 홈플러스가 기업회생 신청 계획을 숨긴 채 투자자들을 속여 6000억원 규모의 단기채권을 발행했다는 의혹을 수사 중이다. 금감원도 MBK가 홈플러스 인수 과정에서 발행한 상환전환우선주(RCPS) 처리 과정에서 국민연금 등 투자자의 이익을 침해했을 가능성을 조사했으며 자회사 직원의 미공개 정보 이용 정황도 문제 삼고 있다.
이번 제재 절차는 단순히 금융 문제에 그치지 않는다. MBK가 경영효율화를 이유로 발표한 15개 점포 폐점 계획에는 부산 장림점과 감만점, 울산 북구점과 남구점 등 주요 매장이 포함돼 있다. 이들 매장은 지역 소비 거점 역할을 해온 곳으로 폐점이 현실화되면 수백 명의 일자리 상실과 인근 소상공인 매출 급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 시민사회는 "사모펀드가 수익만 챙기고 지역은 버려졌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금감원은 MBK 측 소명과 답변을 받은 뒤 제재심의위원회를 열어 수위를 확정할 예정이다. 제재는 기관주의, 기관경고, 영업정지, 등록취소 순으로 구분되며 '기관경고' 이상은 중징계로 분류된다. 중징계가 내려질 경우 국민연금 등 기관투자자가 MBK를 위탁운용사에서 제외할 수 있어 파장은 금융권 전체로 확산될 수 있다.
MBK는 "금융당국 검사 절차에 성실히 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부산·울산 현장에서는 이미 폐점 철회와 피해보상 대책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번 제재 절차가 MBK의 불투명한 경영을 바로잡고 지역경제 피해 회복 논의로 이어질 수 있을지는 여전히 의문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