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천군(군수 김덕현)이 접경지역 특성을 살린 AI 기반 미래전략을 본격화하며 주목받고 있다. 군은 지난달 25일 군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확대간부회의에서 ‘연천 맞춤형 미래전략(AI) 정책발굴 연구’ 1차 결과를 발표했다고 2일 밝혔다.
이날 자리에는 대한지리학회 이정훈 지리연구소장과 송인상 서울대 지리학과 교수가 참여해 “연천, 접경에서 시작되는 AI 실증도시”를 주제로 연천의 입지·인구·산업 특성을 반영한 다양한 전략을 제안했다.
이번 발표에서 제시된 주요 과제는 △정밀농업 실증도시 조성 △행정혁신 및 데이터 통합 △지역 돌봄 플랫폼 △권역별 교통·모빌리티 개선 △접경도시 맞춤형 AI 실증모델 등이다.
군은 앞서 지난 7월 열린 ‘연천 미래비전 선포식’에서도 ‘남북교류 농업 AI 실증모델’을 발표한 바 있다. 이 모델은 위성·드론·IoT 센서 등을 활용해 확보한 데이터를 AI로 분석, 농업 생산 전 과정을 최적화하는 방식이다.
또한, 그린데이터 허브를 구축해 접경지역 고유 데이터를 관리·활용하고, 농업용 로봇·드론 전문가 양성·위성 기반 정밀농업 시범 등을 단계별로 추진해 기획–실증–사업화로 이어지는 ‘연천형 전주기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김덕현 군수는 “정부의 국정운영 5개년 계획에 발맞춰 선제적으로 연구와 실행계획을 마련해 연천을 AI 실증 거점도시로 만들겠다”며 “연천 지역 특성에 맞는 현장형 AI 실증과제를 지속적으로 발굴·구체화하겠다”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