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비상계엄 해제 표결 방해 혐의로 특검 수사선상에 오른 추경호 전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4일 기자회견을 열고 관련 의혹을 전면 부인했다. 특검의 소환 조사가 임박한 것으로 관측되는 추 전 원내대표는 "조사 요청이 있으면 당당하게 임하겠다"고 말했다.
추 전 원내대표는 이날 오후 국회 본관에서 자신의 의혹을 겨냥한 내란특검팀의 강제수사가 시작된 뒤, 처음 공개적으로 입장을 표명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계엄 해제 표결 방해 의혹과 관련, 특검팀이 사흘째 국민의힘 원내대표실·원내행정국에 대한 압수수색을 시도하면서 추 전 원내대표는 강한 압박을 받고 있다.
추 전 원내대표는 '비상계엄 당일 원내 대응 상황 사실관계'라는 제목의 설명자료를 만들어 취재진에 배포했다. 비상계엄을 사전에 "몰랐다"는 사실을 소명하기 위해 지난해 12월 2일 오후부터 12월 4일 국무회의에서 계엄 해제안이 의결된 시점까지 자신의 행적을 시간순으로 정리해 발표하기도 했다.
기자회견은 약 50분에 걸쳐 진행됐고, 추 전 원내대표의 요청에 따라 검사 출신의 정점식·곽규택 의원 등이 동석했다. 회견 요지는 "국민의힘이 계엄 해제 표결을 방해했다는 의혹은 전혀 사실이 아니며, 근거 없는 정치 공작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추 전 원내대표는 "저를 포함한 국민의힘 의원 어느 누구도 비상계엄을 사전에 몰랐다"며 "당은 지난해 12월 2일 의총 결정으로 12월 4일 국회에서 전국 단위 대규모 (더불어민주당) 규탄 집회를 추진했다. 이는 계엄을 사전에 인지했거나, 공모했다는 가설조차 성립되지 않는다는 방증"이라고 내세웠다.
또 12월 3일 비상계엄 선포 당일, 의원총회 장소를 국회가 아닌 당사로 바꾼 것은 "통제 상황 때문에 국회 출입이 어려워서"였다며 "이는 당시 합리적이고 타당한 결정이었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도부가 당사로 이동하니 의원총회 장소도 변경해야겠다고 결심한 것"이라고 부연 설명했다.
그는 "12월 3일 23시 22분경 당사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의 전화를 받고 약 2분 5초간 통화했다. '여기서 계엄 관련 대화를 나누고 국회 표결을 방해한 것 아니냐'는 의혹 제기가 있는데, 오히려 저는 윤 전 대통령과 통화 뒤 의원총회 장소를 당사에서 국회로 변경했다"며 "윤 전 대통령과는 '여당 원내대표에게 미리 알리지 못해 미안하다'는 취지의 간단한 통화를 한 뒤 끊은 것"이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2차 국회 출입 전면 통제로 의원총회 장소를 당사로 변경하는데, 이건 국회로 들어오지 못한 의원들에 대한 '임시 집결 장소'의 의미였다"고 강조했다.
추 전 원내대표는 의원들을 당사로 모은 이유와 관련 "불가피성"을 여러 차례 강조하며, 우원식 국회의장으로부터 국회 본회의에 비상계엄 해제 결의안이 상정될 시각을 통보받은 뒤에는 의원들에게 표결 관련 구체적인 지침을 내리지 않았다고 책임을 비껴가려는 태도를 보였다.
그는 "저는 당사에 모인 다수 의원에게 이런 상황에 대해 어떻게 대응하면 좋을지 의견을 모아달라고 요청한 상태였다"며 "답을 기다리는 상태에서 우 의장의 전화가 왔고, 마지막 상황이 진행됐다"고 말했다.
이날 추 전 원내대표는 다소 긴장한 모습이었다. 발언 자료를 쥔 손을 떨거나, 중간중간 목소리를 떨기도 했다. 그는 "(특검) 조사에 임해 그날 있었던 사실관계에 대해 소상하게 말할 예정"이라고 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