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현 국민의힘) 원내대표를 지낸 김성태 전 의원이 지난 2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 충돌 과정에서 '초선은 가만히 앉아 있으라'고 한 나경원 의원 언행의 부적절성을 인정하면서도, 격앙된 법사위 분위기를 조성한 데에는 추미애 법사위원장의 책임이 크다고 지적했다.
김 전 의원은 5일 CBS 라디오에서 "'나 의원은 내란죄에 가담한 의혹이 있다'며 (법사위 야당 간사) 자격을 임의로 규정짓고, 간사 선임 절차를 (추 위원장이) 그냥 안 해버렸다"며 "미우나 고우나 아무리 상대 당에서 자신들의 마음에 들지 않는 간사를 내정했다고 해도 그건 교섭단체 간의 내부 사정"이라고 짚었다.
함께 라디오에 출연한 더불어민주당 박주민 의원이 "나 의원은 불과 얼마 전 당 대표 경선에서 한동훈 전 대표가 법무부 장관이던 시절 본인 사건에 대한 공소 취소를 요구한 사실이 드러나지 않았나"라고 지적하자 김 전 의원은 "쌍방이 서로 주장하는 바가 다르지 않나"라며 나 의원을 두둔했다.
박 의원이 언급한 공소 취소 사건은 지난해 7월 국민의힘 전당대회 토론에서 터져 나온 일로, 한동훈 당시 당 대표 후보가 당권 경쟁자인 나 의원에게 "저에게 본인 패스트트랙 사건 공소를 취소해달라고 부탁한 적 있죠"라고 말하며 논란이 불거졌다.
김 전 의원은 "추미애 위원장이 법사위원장 취임하고 한 일은 크게 두 가지다. 하나는 서울구치소에 수감 중인 윤석열 전 대통령 속옷 차림 CCTV를 공개하려 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나 의원의 간사 선임을 자의적으로 판단해 수락 결정을 안 한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김 전 의원은 "'초선 의원 가만히 있어'(라고 한 것은) 나 의원도 적절한 발언은 아니"라면서도 나 의원 사과 필요성에는 "동기부여를 다른 사람도 아니고 법사위원장이 했다. 논란이 된 간사 선임 절차를 해주면, 당연히 나 의원도 그에 따른 자신의 지난 발언에 대해, 격앙된 입장에 대한 분명한 입장이 나오는 것이다. 그게 정치"라고 했다.

전체댓글 0